올해 쌀 생산량 37년 만에 400만t 밑돌 듯…396만t 전망

올해 쌀 생산량 37년 만에 400만t 밑돌 듯…396만t 전망

입력 2017-10-17 12:28
수정 2017-10-17 12: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보다 5.8% 감소 전망…가뭄·재배면적 감소 등 영향

올해 가뭄과 재배면적 감소 등 영향으로 쌀 생산량이 1980년 이후 처음으로 400만t을 밑돌 것으로 예측됐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0a당 쌀 예상 생산량은 작년(539kg)보다 2.8% 줄어든 524kg이었다.

이는 최근 5년 중 최고·최저를 제외한 연도의 평균인 평년 생산량(522kg)보다 2kg 더 많은 것이다.

10a당 예상 생산량은 모내기 시기 가뭄 등 기상 여건 악화에 다른 이삭 수 감소, 낟알 형성 시기 잦은 강수 등 영향으로 작년보다 감소했다.

10a당 생산량 감소에 더해 재배면적도 줄면서 쌀 생산량은 작년(419만7천t)보다 5.8% 줄어든 395만5천t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예상대로라면 올해 쌀 생산량은 이상 기후 영향으로 355만t에 그친 1980년 이후 37년 만에 처음으로 400만t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재배면적은 경지 면적 감소, 정부의 쌀 적정생산 유도 정책에 의한 타 작물 전환 등으로 작년보다 3.1%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재배면적 감소에도 기상 호조로 10a당 생산량이 많아 쌀 생산량이 400t 이상을 유지했지만, 올해는 가뭄 등으로 10a당 생산량도 줄어 400t을 밑돌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