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내서 투자’ 코스닥선 통했다…주가 상승률 30%

‘빚내서 투자’ 코스닥선 통했다…주가 상승률 30%

입력 2017-11-15 07:02
수정 2017-11-15 07: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융자거래량 증가 상위 20종목, 지수 상승률보다 10%p 더 올라

코스닥 시장이 연일 우상향 곡선을 그리면서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코스닥 주식을 산 투자자들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반면 코스피에선 같은 방법의 투자가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연초 이후 지난 13일까지 코스닥 신용융자거래가 증가한 상위 20개 종목의 평균 주가 수익률은 29.87%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의 상승률 17.30%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빚 투자’가 가장 적중한 종목은 신라젠이었다.

올해 초(1월 2일) 5만1천716주였던 신라젠의 신용융자거래 잔고는 지난 13일 170만1천615주로 30배 이상으로 늘었는데 이 기간 주가는 1만2천950원에서 8만600원으로 522.39%의 상승률을 보였다.

연초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신라젠의 주식 100주를 129만5천원에 샀다면 700만원에 가까운 돈을 벌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신용융자 잔고가 1천776.32% 증가한 포스코컴텍도 주가 상승률이 160.83%에 달해 투자자들을 웃음 짓게 했다.

넵튠(80.92%), 대성엘텍(56.36%), 와이아이케이(53.33%), 네패스신소재(37.05%), 디에스티로봇(22.38%) 등도 주가가 크게 올랐다.

그러나 신용융자거래 증가율이 곧 주가 상승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신용융자거래 증가 상위 20개 종목 중 주가가 오른 종목은 9개로 절반이 채 되지 않았고, 융자 잔고 증가율이 가장 큰 KD건설(6천383.55%)의 경우 주가는 오히려 18.28% 하락했다.

신용융자거래 증가율 1천482.86%인 코프라의 주가가 무려 66.90% 하락하기도 했다.

반면 코스피 시장에서는 올해 들어 신용융자거래 증가율 상위 20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이 11.93%로, 지수 상승률 24.88%보다 오히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시장에서 ‘빚 투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서울식품(3천832.50%)의 경우 주가가 155원에서 311원으로 100.65% 증가해 투자자들의 ‘배팅’이 적중했다.

반면 성지건설(-62.16%), 오리온홀딩스(-52.80%), 티웨이홀딩스(-47.31%), 동양생명(-31.59%) 등의 종목은 주가 하락의 쓴맛을 봐야 했다.

신용융자거래는 향후 주가가 오를 것을 기대하고 증권사에 일부 증거금을 내고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는 투자 방법이다.

주로 강세장에서 추가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가 많을 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3일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의 신용융자거래액 잔고는 9조2천93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코스피 잔고는 4조5천740억원, 코스닥 잔고는 4조7천196억원이다. 연초 2조9천442억원, 3조8천641억원에서 각각 55.3%, 22.1% 늘어난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