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먹고 사는 일’이다. 일찍이 서양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우리가 무엇을 먹는지가 곧 우리 자신이 된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먹고 마시는 행위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존’의 문제인 동시에 그 자체로 맛을 즐기는 ‘유희’이기도 하다. 인간은 언제나 새로운 미식을 추구하면서도 익숙한 맛과 몸에 최적화된 영양소에서 얻는 위안도 포기하지 못한다. 먹거리 시장의 트렌드가 가장 빠르게 바뀌면서 동시에 가장 보수적이라는 이중성을 갖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바야흐로 먹거리 홍수의 시대인 오늘날에는 집 앞 슈퍼에만 나가도 수만 가지의 식음료가 우리를 맞이한다. 수십년 동안 변함없이 소비자의 사랑을 받아 온 ‘스테디셀러’ 제품들도 있고, 발전한 기술력과 다양해진 식재료를 바탕으로 급부상한 ‘신상 히트’ 상품도 있다. 어느 쪽이든 소비자의 사랑을 받는 먹거리의 공통점은 입맛과 건강, 두 마리 토끼 중 어느 한쪽도 소홀히 하지 않은 고집에 있을 것이다.
2017-11-1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