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많고 나이 어릴수록 엄마 취업률 낮다

자녀 많고 나이 어릴수록 엄마 취업률 낮다

입력 2017-12-07 21:02
수정 2017-12-07 2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상반기 여성 고용률 분석

자녀의 수가 많고 나이가 어릴수록 엄마의 취업률이 떨어진다는 통념이 통계로 확인됐다. ‘워킹맘’ 2명 중 1명은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에도 못 미치지만 정작 노동 시간은 전체 여성 근로자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7일 통계청이 지난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509만 4000명을 분석한 결과 자녀 수에 따른 여성의 고용률은 1명 57.8%, 2명 55.5%, 3명 이상 49.1% 등으로 격차가 발생했다. 1년 전 조사에 비해 자녀 1명과 2명인 여성의 고용률은 각각 1.0% 포인트, 0.9% 포인트 높아진 반면 3명 이상은 0.3% 포인트 낮아졌다.

아이가 어릴수록 엄마의 고용률은 떨어지고 근무 시간도 줄었다. 막내 아이가 6세 이하인 여성의 고용률은 46.4%, 7∼12세 60.1%, 13∼17세 67.8% 등이다. 또 주당 평균 근무 시간은 막내 아이 6세 이하 34.7시간, 7∼12세 39.2시간, 13∼17세 41.1시간 등으로 집계됐다. 자녀가 있는 여성의 근무 시간(38.2시간)은 전체 취업 여성의 근무 시간(40.2시간)보다는 짧지만 자녀가 중·고교에 다니는 여성으로 한정하면 오히려 더 길게 일한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아이가 어릴 때는 많이 돌봐 줘야 하므로 육아 등에 투입하는 시간이 많지만 자녀가 13세 이상이 되면 그런 돌봄이 덜 필요할 수도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워킹맘들의 임금은 월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43.6%로 가장 많았다. 100만원 미만 12.4%, 200만∼300만원 21.8%, 300만∼400만원 12.6%, 400만원 이상 9.6% 등이었다. 1년 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저임금 여성(100만원 미만 1.6% 포인트, 100만∼200만원 1.1% 포인트)은 감소했으며 중·고임금 여성(200만~300만원 1.5% 포인트, 300만~400만원 및 400만원 초과 0.6% 포인트)은 증가했다.

워킹맘들의 근로 형태별로는 임금 근로자가 79.9%, 비임금 근로자가 20.1%로 조사됐다. 임금 근로자 중 상용 근로자의 비율은 68.3%, 임시·일용 근로자는 31.7%였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2.6%, 사무 종사자 25.8%, 판매 종사자 13.8% 등이었다. 워킹맘들의 지역별 고용률은 제주가 76.9%로 가장 높고 울산이 48.3%로 가장 낮았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12-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