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원장 “인터넷업계, 상생 공론화 기구 참여해달라”

방통위원장 “인터넷업계, 상생 공론화 기구 참여해달라”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13 09:25
수정 2017-12-13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은 13일 네이버, 카카오, 구글코리아 등 인터넷 사업자 8곳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상생 공론화 기구 참여 등을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이효성 방통위원장
발언하는 이효성 방통위원장 이효성 방통위원장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인터넷사업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포털 책무 강화, 국외 IT(정보기술) 기업과의 역차별 등 인터넷 규제 정책을 둘러싼 최근 논란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며 “곧 구성될 인터넷 기업 상생 등을 위한 공론화 기구에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어 “네거티브 방식(일부 금지 사항 외에는 모두 허용하는 방식)으로의 규제정책 전환 등을 통해 규제의 명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방송통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인터넷 기업도 이용자 보호와 공정 경쟁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인터넷 기업 측은 “인터넷업계 규제 이슈로 플랫폼(기반 서비스)과 콘텐츠 사업자 등 인터넷 기업 간 갈등이 증폭돼 방통위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면서 “인터넷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규제 완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요청했다고 방통위는 전했다.

또 행사에 참여한 콘텐츠 기업들은 “통신사와 플랫폼 사업자가 자체 콘텐츠에 특혜를 주는 등 불공정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통위가 적극적으로 시장감시를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성숙 네이버 대표, 임지훈 카카오 대표,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대표, 김대욱 MCN협회 사무총장(CJ E&M 국장), 조용범 페이스북코리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