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주택대출금리 껑충, 5% 육박…농협은행 0.55%p↑

1년새 주택대출금리 껑충, 5% 육박…농협은행 0.55%p↑

입력 2017-12-31 09:08
수정 2017-12-31 10: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월 2일자 시중은행 최고금리 4.58∼4.85%

서울의 아파트 단지[서울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서울의 아파트 단지[서울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2017년 한 해 동안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껑충 뛰어올랐다.

3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NH농협)의 혼합형(5년간 고정, 이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년 동안 최대 0.55%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NH농협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는 내년 1월 2일 기준 3.71∼4.85%다.

올해 1월 2일 기준 농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26∼4.30%였던 것을 고려하면 최저금리가 0.45%p, 최고금리는 0.55%p 오른 셈이다.

농협은행은 최고 가산금리를 줄곧 2.27%로 유지했지만, 금리산정 기준이 되는 금융채 5년물 금리가 올해 초 2.03%에서 2.58%로 오르면서 이처럼 금리를 올리게 됐다.

금융채 5년물 금리는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이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기대 탓에 치솟는 모양새다.

이 영향으로 10월 30일에는 농협은행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가 최고 4.91%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신한은행의 경우 1월 2일 자 주택대출 가이드금리가 3.68∼4.79%로, 1년 전 가이드금리인 3.48∼4.59%보다 0.20%p 상승했다.

신한은행은 올해 초 2.55%였던 가산금리를 네 차례에 걸쳐 인하하며 5월께 2.15%로 내렸지만, 이달 22일 2.20%로 0.05%p 인상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신한은행 측에 가산금리 인상이 부적절하다며 제동을 걸었지만 내년 1월 2일 기준 주택대출 금리에는 2.20% 가산금리를 아직 적용 중이다.

우리은행의 다음달 2일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는 3.58∼4.58%로, 올해 1월 2일(3.38∼4.38%)보다 0.20%p 높았다.

KEB하나은행의 가이드금리는 3.495∼4.695%로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1년 전 3.329∼4.549%와 비교하면 최저금리 기준 0.166%p, 최고금리 0.146%p 상승한 것이다.

하나은행은 지난 10∼11월 최고금리가 5%를 넘기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 5% 시대를 열었지만, 당국의 경고 목소리가 나온 이후 가산금리를 낮췄다.

이번에 우대금리 등을 통한 부수 거래 감면율을 늘리면서 최저가산금리가 26일 기준 1.120%에서 다음달 2일 0.920%로 낮아진다.

KB국민은행의 경우 1월 2일부터 5일까지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3.65∼4.85%로 적용한다.

지난해 마지막 주 적용 금리인 3.41∼4.71%보다 0.14%p 올랐다. 국민은행은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일주일 단위로 적용한다.

한편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금리도 1년 새 요동쳤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최근 1년 사이에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달 15일 공시된 올 1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77%, 잔액 기준 코픽스는 1.66%였다.

지난해 1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1.51%, 잔액 기준 코픽스는 1.62%였던 것을 고려하면 1년 사이에 신규취급액 코픽스가 0.26%p 오른 셈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