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국내 거주자들의 외화예금이 사상 최대 기록을 작성했다. 수출이 활기를 띠면서 달러화는 계속해서 들어오는데 환율 하락 때문에 기업들이 수출 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팔지 않고 은행에 예치한 탓이다.
서울 을지로2가 외환은행 본점에서 한 직원이 달러를 세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을지로2가 외환은행 본점에서 한 직원이 달러를 세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7년 12월 중 거주자 외화예금 동향’을 보면 지난달 말 외국환은행의 거주자 외화예금은 830억 3000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26억 2000만 달러가 증가했다. 거주자 외화예금은 내국인,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을 뜻한다.
거주자 외화예금 잔액은 지난해 10월(732억 8000만 달러), 11월(804억 1000만 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달러화 예금이 707억9000만 달러로 한 달 사이 26억 5000만 달러 증가한 영향이 컸다. 달러화 예금이 700억 달러를 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원/달러 환율 하락이 달러화 예금 증가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원/달러 환율(종가 기준)은 지난해 11월 평균 달러당 1102.8원에서 12월 1086.0원으로 16.8원 하락했다. 환율이 떨어지면 수출 기업이 달러를 원화로 교환할 때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이 잘 되면서 기업들이 결제 대금으로 받은 달러는 늘고 있는데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며 달러화를 팔지 않고 예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엔화 예금은 2억 2000만 달러 늘어난 57억 9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유로화는 34억 5000만 달러로 3억 3000만 달러 감소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