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하반기 신모델 탑재 가능
업무·개인용 전화번호 2개로통신사별 요금제도 나눠 사용
삼성·LG “수요 적어 계획없다”
듀얼심이 장착된 신형 아이폰 이미지 추정 사진.
오스트레일리언 비즈니스 트래블러 홈페이지 캡처
오스트레일리언 비즈니스 트래블러 홈페이지 캡처
4일 업계에 따르면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애플이 올해 하반기 신형 6.5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화면 모델을 일부 지역에서 듀얼심폰으로 출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코드명 ‘D33’으로 명명된 이 제품은 심 두 개를 모두 4세대(4G)인 롱텀에볼루션(LTE) 통신용으로 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해 11월 애플 소식에 밝은 대만 KGI증권 애널리스트 궈밍치도 2018년형 아이폰 모델 일부가 듀얼심폰으로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심을 두 개 꽂으면 전화번호가 두 개가 된다. 업무용과 개인용 전화를 구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해외 여행이나 출장 때 현지용과 로밍용으로 각각 쓰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과 데이터 요금제를 통신사별로 구분해 맞춤형으로 쓰는 방법도 있다. 국내 듀얼심폰 출시 가능성에 알뜰폰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듀얼심폰은 복수의 통신사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 단말기 자급제나 알뜰폰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나 LG전자는 애플이 국내에 듀얼심폰을 내놓더라도 따라갈 계획은 없다는 태도다. 삼성이나 LG 모두 해외에서는 듀얼심폰을 출시해 팔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8’ 시리즈와 ‘갤럭시노트8’의 듀얼심 버전을 독일, 네덜란드, 미국 등지에서 출시했다. 중국, 필리핀, 러시아 등 신흥국에도 주력 스마트폰의 듀얼심 모델을 내놓았다. 가장 최신 모델인 ‘갤럭시S9’도 말레이시아에서 듀얼심 인증을 받았다. LG전자도 전략 스마트폰 ‘G4’, ‘G5’의 듀얼심 모델을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나라 별로 휴대폰 사용 패턴과 이동통신 제도가 달라 온도 차가 크다”면서 “중국이나 러시아는 전화기 한 대로 비즈니스용과 개인용을 구분해 쓰는 문화여서 듀얼심폰이 인기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듀얼심폰 수요가 별로 없다”고 설명했다. 시장성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다른 관계자도 “휴대폰 자급제가 활성화된 미국, 유럽 등과 달리 우리나라는 면적이 좁아 통신사를 지역별로 바꾸거나 할 필요성이 적다”면서 “휴대폰 한 대로 전화번호를 두 개 쓰는 ‘듀얼 번호제’는 우리나라에도 있지만 개인사업자 등 일부만 쓴다”고 전했다.
한편에선 애플이 차세대 ‘e심’ 기술에 관심이 많다는 이유로 듀얼심이 채택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휴대폰업계 관계자는 “e심은 아예 심 카드 없이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아이패드와 애플워치에 이미 적용되고 있어서 애플이 e심으로 바로 옮겨 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3-05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