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빵집 ‘매출 빵빵’

동네 빵집 ‘매출 빵빵’

장은석 기자
입력 2018-06-07 23:52
수정 2018-06-08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랜차이즈보다 두 배 급증

국민 빵소비, 4일에 한 번꼴
제과·제빵 시장에서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 대기업 프랜차이즈 빵집의 점유율은 떨어지고 동네 빵집 비중이 높아졌다. 제빵업이 2013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됐고, 프랜차이즈 빵집은 이미 포화 상태인 점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우리 국민들은 4일에 한 번꼴로 빵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7일 발표한 ‘빵류 시장 2018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제과점 총매출액은 5조 9388억원으로 2012년(3조 9698억원) 대비 49.6% 증가했다. 편의점 등 소매점의 빵 매출액은 4251억원으로 같은 기간 36.8% 늘었다.

특히 프랜차이즈 빵집 매출액은 2013년 3조 260억원에서 2016년 3조 6034억원으로 19.1%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동네 빵집 매출액은 같은 기간 1조 2124억원에서 2조 3353억원으로 2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에 따라 동네 빵집의 시장 점유율은 28.6%에서 39.3%로 10.7% 포인트 올랐다.

2016년 기준 국민 1인당 연간 빵류 소비량은 90개로 4년 사이 12개 늘었다. 가장 많이 생산된 품목은 찐빵·단팥빵 등이 포함된 기타 빵류로 빵 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48.1%를 차지했다. 케이크(34.5%), 식빵(8.7%), 도넛(3.8%), 카스텔라(3.4%), 파이(1.6%) 등이 뒤를 이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도넛과 파이는 건강을 지향하는 트렌드 확산으로 생산이 줄었고, 식빵은 전문점 등장으로 대량 생산이 줄어든 것이 생산 비중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06-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