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조정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의 종합부동산세를 중과하고 유주택자의 대출을 옥죄는 등 주택시장 안정대책 발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한풀 꺾이는 분위기다.
이미지 확대
주택시장 안정방안, 효과는? 14일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등 서울 시내 모습. 정부는 전날 ‘9·13 주택시장 안정방안’ 발표에서 서울·세종 전역과 부산·경기 일부 등 집값이 급등한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 보유자에게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을 최고 3.2%로 중과하고, 세 부담 상한도 150%에서 300%로 올린다고 밝혔다. 2018.9.14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택시장 안정방안, 효과는?
14일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등 서울 시내 모습. 정부는 전날 ‘9·13 주택시장 안정방안’ 발표에서 서울·세종 전역과 부산·경기 일부 등 집값이 급등한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 보유자에게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을 최고 3.2%로 중과하고, 세 부담 상한도 150%에서 300%로 올린다고 밝혔다. 2018.9.14 연합뉴스
14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51% 올랐다. 이는 지난달 말 0.57% 오른 이후 2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한 것이다.
금주 시세는 대책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주초부터 강력한 세금 규제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호가 상승이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
노원(1.00%)의 아파트값이 금주 조사에서 1%의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서대문(0.99%)·성북(0.99%)·강북(0.96%)·구로(0.93%)·관악구(0.76%) 등 비강남권이 상대적으로 강세였다.
노원구의 경우 상계동 일대 주공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 상계 주공1, 4, 6, 9단지가 지난주 대비 1천만∼3천만원 상승했다.
지난달 말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중구는 이번주 조사에서 보합을 기록했고 박원순 서울시장의 여의도·용산 통합개발 보류 방침으로 용산(0.14%)과 영등포구(0.20%)는 오름폭이 눈에 띄게 줄었다.
매수·매도자 모두 관망하며 거래 없이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신도시 아파트값은 0.31%로 지난주(0.28%)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위례(0.85%)·평촌(0.53%)·분당(0.45%)·산본(0.41%) 등이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
경기·인천은 0.12%로 지난주(0.13%)보다 상승폭이 둔화한 가운데 최근 경기지역에서 가장 과열을 보이고 있는 과천(0.69%)과 광명(0.55%)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감소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