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취업자 26만3천명↑…60세 이상 역대최대폭 증가

2월 취업자 26만3천명↑…60세 이상 역대최대폭 증가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3-13 09:44
수정 2019-03-13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취업자 13개월만에 20만명 웃돌아…30·40대 취업자 대폭 감소

이미지 확대
2월 고용동향, 취업률 반짝 반등
2월 고용동향, 취업률 반짝 반등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13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2월 고용동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26만3000명 늘어나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실업자 수는 늘어 2년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2019.3.13
뉴스1
지난달 취업자가 26만여명 늘어나며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를 기록했다.

공공 일자리사업 확대와 농림어업 종사자 증가의 영향으로 60세 이상 취업자가 통계 작성 후 가장 크게 늘었다.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이나 금융 및 보험업 일자리는 큰 폭 줄었고 30·40대도 취업자가 크게 감소했다.

통계청이 13일 공개한 ‘2019년 2월 고용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63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3천명 늘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취업자 증가 폭은 작년 1월(33만4천명) 이래 13개월 만에 최대다.

취업자 증가 폭은 작년 2월에 10만4천명으로 급격히 축소한 데 이어 올해 1월(1만9천명)까지 12개월 연속 부진했다.

작년 8월에는 취업자 증가 폭이 3천명을 그쳐 마이너스를 겨우 면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 확대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고용 확대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분야에서 취업자가 1년 전보다 23만7천명(12.9%) 증가했다. 2013년 해당 통계를 낸 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농림어업 취업자도 1년 전보다 11만7천명(11.8%) 늘면서 취업자 확대에 기여했고 정보통신업은 7만2천명(9.0%) 늘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는 1천명 증가했다. 2017년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20개월간 이어진 감소세가 일단 멈췄다.

반면 제조업(-15만1천명), 도매 및 소매업(-6만명), 금융보험업(-3만8천명)의 취업자는 크게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작년 4월부터 11개월 연속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는 3천명 줄었다. 1월에 이어 두 달째 마이너스다.

당국은 공공 일자리사업과 농림어업 취업자 증가 등이 고용지표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노인 일자리사업에 지원한 분들이 보건·복지·공공행정 등 분야에 취업자로 유입했고 농림어업에서 취업자가 10만명대 증가를 기록한 것도 취업자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당국에 따르면 이번 노인 일자리 사업에 따른 신규 일자리 규모는 25만개 후반 수준이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2월 취업자 수에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을 통한 취업자는 대부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으로 분류되며 일부는 공공행정 분야로 분류된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9만7만천명 늘었다. 특히 65세 이상은 26만2천명 증가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1982년 7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후 가장 많이 늘었다.

반면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11만5천명, 12만8천명 줄었다.

실업자는 130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8천명 늘었다.

2월 기준 실업자 수는 비교 가능한 통계를 작성한 2000년 이후 2017년(134만2천명), 2016년(130만9천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2월 실업률은 4.7%로 0.1%포인트 상승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3.4%로 작년 2월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보조지표3은 24.4%로 1.6%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보조지표3은 조사대상 전체와 청년층 양쪽 모두 2015년 1월 통계 작성 이후 올해 2월에 가장 높았다.

고용률은 59.4%로 0.2%포인트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8%로 1년 전과 같은 수준이었다.

취업자 증감을 종사상 지위로 구분하면 상용근로자가 29만9천명 늘었고 임시 근로자는 4만3천명 감소했다. 일용 근로자는 4만명 증가했다.

정 과장은 “임시직 근로자 감소폭이 축소한 것은 노인 일자리 사업 시행으로 취업자가 유입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천명 늘었다. 줄곧 감소하다 16개월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정부는 고용시장 활기를 나타내는 경제활동 참가율이 상승하면서 고용률과 실업률이 동반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또 노인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과 작년 2월 고용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일부 영향을 끼쳤다고 봤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연간 취업자 증가 목표 15만명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 노력을 가속하겠다”며 “민간 활력 제고를 위해 수출대책, 투자 활성화, 산업혁신 등 정책과제를 빠르게 추진하고 맞춤형 정책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