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비율도 34개국 중 최고
한국의 지난해 가계부채 증가 속도와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이 주요 34개국 중 1위를 기록했다.7일 국제금융협회(IIF)가 내놓은 `글로벌 부채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한국 가계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97.9%이다. IIF가 국가별 수치를 제시한 34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글로벌 가계부채의 평균 GDP 대비 비율은 59.6%이다.
한국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뿐 아니라 가계부채 비율의 상승 속도도 가장 빨랐다. 지난해 말 한국 가계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전년 같은 기간(94.8%)보다 3.1% 포인트 상승해 조사 대상 34개국 중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글로벌 가계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0.2% 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에 비해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가계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오히려 1.6% 포인트, 0.2% 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한국의 기업부채도 빠른 속도로 늘었다. 한국 비금융 기업부채는 지난해 4분기 기준 GDP 대비 102.2%에 이르며 1년 만에 3.9% 포인트 상승하면서 100%를 넘어섰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의 상승 속도는 34개국 중 4위였다. 지난해 말 글로벌 부채는 243조 2000억 달러(약 22경 7640조원)다. 1년 전보다 3조 3000억 달러가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7년 21조 달러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속도가 크게 느려진 것이다. 특히 한국이 포함된 신흥시장 국가들의 부채 증가액은 1조 1000억 달러로 2001년 이후 가장 작은 규모가 증가했다. IIF는 “지난해 전 세계 부채 증가 속도의 급격한 둔화는 주로 유럽과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04-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