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2곳 ‘실속 없는 성장’

기업 10곳 중 2곳 ‘실속 없는 성장’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9-06-26 17:58
수정 2019-06-27 0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 늘었지만 적자·영업이익 감소…CXO연구소 “올해 매출 줄어들 듯”

지난해 국내 기업 10곳 중 2곳꼴로 매출은 늘었지만 적자를 내거나 영업이익이 전년도에 비해 줄어드는 ‘실속 없는 성장’을 이룬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의 매출액 증가세 둔화 조짐도 포착됐다.

기업정보 분석 업체인 한국CXO연구소는 26일 국내 상장사 1000곳의 2016~2018년 3년치 영업실적 현황을 분석,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매출이 늘었지만 영업실적이 부진한 기업은 190곳으로 조사 대상 전체의 19.0%, 매출 증가 기업의 31.8%가 이에 해당했다.

1000대 상장사의 지난해 총매출은 1288조 3339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성장했다. 2016년(1166조 886억원)에 비해 2017년(1252조 2066억원) 매출 성장률이 7.4%였던 데 비하면 매출 성장세가 둔화된 것이다. 최근 1분기 실적을 토대로 볼 때 올해 매출 외형은 지난해보다 감소세로 돌아설 여지가 크다고 이 연구소는 내다봤다.

지난해까지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전자 산업이 대한민국 경제의 ‘맏형’임을 입증해 냈다. 지난해 전자 산업의 총매출은 300조 2504억원으로 조사 대상 기업 총매출액의 23.3%를 차지했다. 지난해 화학 업종 매출은 121조 2894억원으로 9.4%를 책임졌다. 반면 자동차 업종 매출 영향력은 2016년 129조 589억원(11.1%)에서 2017년 128조 883억원(10.2%), 지난해 131조 2560억원(10.2%)으로 하락·횡보 추세를 보였다. 연구소는 “지난해 고용 규모는 자동차 업종이 16만 4372명, 화학 업종이 8만 4308명 정도였다”면서 “자동차산업이 경쟁력을 갖춰야 경제 성장은 물론 고용 문제도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9-06-2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