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 가구와 빈곤층 가구간 소득격차 7분기 만에 줄었다

중위소득 가구와 빈곤층 가구간 소득격차 7분기 만에 줄었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9-11-24 11:31
수정 2019-11-24 1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산층 소득점유율 가늠자’ 팔마비율도 3분기 연속 개선

중위소득 가구와 빈곤층 가구 간 소득격차가 7분기 만에 좁혀졌다.

중산층의 소득 점유율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팔마 비율도 3분기 연속 개선하는 등 소득분배 관련 지표가 일제히 개선됐다.

24일 통계청의 올해 3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에 따르면 월평균 소득 하위 10% 가구 경곗값(P10·1분위와 2분위의 경계에 해당하는 금액) 대비 중위소득 가구 경곗값(P50·5분위와 6분위의 경계에 해당하는 금액)의 배율은 3.03배로, 작년 동기보다 0.12배 포인트(p) 낮아졌다.

P50/P10 배율은 2017년 4분기에 0.21배 포인트 낮아진 이후 1년 반 동안 악화 일로였다. 올해 1분기(3.38배)는 200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P50/P10 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사용하는 소득분배 지표 가운데 하나다.

이 배율이 낮아질수록 중위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 간 소득 격차가 좁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를 비교하는 5분위 배율과는 달리 빈곤층의 소득이 중위소득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소득 상위 10% 상한값을 하위 10% 경곗값으로 나눈 10분위수 배율(P90/P10 배율)도 개선됐다.

상위 10%에 해당하는 초고소득층과 하위 10%의 저소득층 간 소득 경곗값을 비교한 이 지표는 올해 3분기 6.10배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54배 포인트 낮아졌다.

역시 2017년 4분기(-0.44배 포인트) 이후 7분기 만에 첫 하락이다. 하락폭은 통계 집계 이래 가장 컸다.

상위 10%와 중위소득 경곗값 비율(P90/P50)은 2.01배로 3분기 연속 하락했다.

이 지표가 3분기 연속 개선된 것은 2015년 2∼4분기 이후 약 4년 만이다.

중산층 소득 점유율 가늠자로 꼽히는 ‘팔마 비율’도 3분기 연속 좋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팔마 비율은 가계 소득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것으로, 지니계수의 대안으로 꼽히는 소득분배지표다.

P50/P10, P90/P10 등과 마찬가지로 비율이 낮아질수록 소득 격차가 좁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3분기 팔마 비율은 1.36배로, 1년 전보다 0.06배 포인트 하락했다.

팔마 비율은 올해 1분기부터 3분기째 하락 중으로, 이는 2015년 1∼4분기 이후 최장 기록이다.

팔마 비율과 10분위수 배율, P90/P50, P50/P10은 모두 OECD에서 사용하는 소득분배 지표다. 통계청은 올해 4월 팔마비율과 10분위수 배율 등 관련 지표를 확대 공개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