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언택트(비대면) 소비가 주목받는 가운데 지난해에도 온라인쇼핑의 증가로 전자지급결제대행서비스 규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토스, 카카오페이 등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편송금 서비스의 하루평균 이용금액은 1년 만에 두 배 넘게 늘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19년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 이용금액은 하루 평균 5467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2% 증가했다. 이용 건수는 39.3% 늘어난 1200만건으로 집계됐다. PG는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에게 받은 대금이 판매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지급결제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다. 온라인쇼핑이 늘어나면 PG 서비스 이용 규모도 커진다.
스마트폰에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활용해 송금하는 간편송금 서비스는 이용금액이 하루 평균 2346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24.4% 증가한 수치다. 이용 건수는 249만건으로 76.7% 늘었다. 토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전자금융업자가 제공하는 간편송금 서비스의 이용금액 2184억원으로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아울러 공인인증서 없이도 비밀번호 등을 이용해 결제하는 간편결제 서비스도 성장세가 지속됐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정보·통신 분야뿐 아니라 SSG 페이 등 유통·제조 분야 간편결제 서비스도 이용건수와 금액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간편결제 이용금액은 하루 평균 1745억원으로 전년보다 56.6% 늘었다. 하루 평균 이용 건수는 44.0% 증가한 602만건으로 조사됐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