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총 받아도 올린다… 샤넬·루이비통 등 가격 줄인상 ‘혈안’

눈총 받아도 올린다… 샤넬·루이비통 등 가격 줄인상 ‘혈안’

심현희 기자
입력 2021-01-24 20:44
수정 2021-01-25 0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라다·에르메스·다미아니도 가격 인상
코로나 ‘보복 소비’ 효과로 비싸도 인기
3대 명품 입점 백화점 9곳만 매출 증가

“비쌀수록 잘 팔린다.”

명품 브랜드들이 새해 들어 잇달아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19에도 매출을 크게 올렸지만 이익공유제 대상으로 거론되기는커녕 오히려 가격 인상에 혈안이 돼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는 최근 가방,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 주요 상품 가격을 평균 2~3% 올렸다. 일명 ‘복조리백’으로 불리는 인기 제품 듀엣 나일론 버킷백은 139만원에서 143만원으로 2.9% 인상했다.

루이비통은 지난 7일부터 최대 25% 수준의 가격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추가 인상 소식이 예고돼 있다. 샤넬은 지난 14일 랩백레드·베이지 미디엄 등의 가격을 629만원에서 643만원으로 올렸다. 에르메스도 지난 5일부터 핸드백은 물론 지갑·스카프·액세서리 등 주요 품목의 가격을 5~10% 높였다. 다미아니 등 보석 명품 브랜드도 오는 2월 가격 인상에 나선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명품 업계가 가격 인상에 거리낌이 없는 건 불황의 역설 때문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여가나 여행 관련 지출이 줄어든 대신 명품을 상대로 하는 ‘보복 소비’가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국내 5대 백화점 67개 점포 중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늘어난 곳은 에르메스·샤넬·루이비통 등 3대 명품 브랜드가 모두 입점해 있는 9곳뿐이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2020년 전체 매출은 전년보다 4.7% 감소했지만, 3대 명품 브랜드가 모두 입점한 강남점, 부산 센텀시티점, 소공동 본점의 매출은 각각 5%대, 7.5%, 0.5% 늘었다. 명품 브랜드가 가장 많이 입점한 곳으로 알려진 현대백화점 판교점 매출은 2019년 9000억원대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1조 원대를 넘기며 가장 높은 매출 상승률(9.4%)을 기록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1-01-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