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밥상 물가’

30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밥상 물가’

나상현 기자
입력 2021-07-05 20:50
수정 2021-07-06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 상반기 농축수산물 물가 12.6% 상승
소비자물가지수 1.8%… 4년 새 최대 증가
파값 156% ‘껑충’… 27년 만에 급등률 커

이미지 확대
‘밥상 물가’인 농축수산물 물가지수가 올 상반기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이며 30년 만에 가장 많이 뛰었다. 지난해 이상기후로 작황이 부진했던 데다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까지 겹친 탓이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전년도 상반기보다 12.6% 상승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1991년(14.8%)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11년(12.5%) 이후 10년 만에 두 자릿수 증가율이다. 상반기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1.8% 오르며 2017년(2.1%) 이후 4년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올 초 ‘금파’라 불렸던 파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156.6% 급등해 1994년(424.2%) 이후 2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사과 역시 54.3% 뛰어 1999년(59.2%) 이후 22년 만에 최대폭 상승이었다. 이 외에 배(47.0%), 복숭아(43.8%), 감(22.0%), 마늘(45.7%), 고춧가루(34.9%) 등도 눈에 띄게 올랐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급등한 것은 지난겨울 한파와 잦은 눈으로 작황이 부진한 영향이 컸다. 특히 파는 재배 면적도 줄면서 출하량이 급감했다. 여기에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달걀 가격도 크게 치솟았다. 올 상반기 달걀 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38.9% 뛰었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가격이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앞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4월부터 봄 대파 출하가 시작되면서 가격이 점차 안정세를 찾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월별 파 물가지수는 지난 3월엔 전년 대비 305.8%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이후 4월(270.0%)과 5월(130.5%), 지난달(11.3%)을 거치며 상승폭이 크게 낮아졌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3분기 달걀 공급량 회복과 4분기 곡물·과실류 수확기 도래에 따른 공급 회복으로 점차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2021-07-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