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수입 제품 가격 수준이 전반적으로 석 달 연속 높아졌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7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2015년 수준 100)는 119.73으로 6월(115.88)보다 3.3% 상승했다.
수입 물가는 전월 대비 기준으로 5월 이후 3개월째 오른 것이다. 지난해보다는 19.2%나 급증했다. 지수는 2014년 4월(120.89) 후 7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 가운데 광산품(4.8%)과 중간재에서는 석탄·석유제품(8.1%)이 높았다. 한은은 “지난달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한 달 사이 1.9% 더 올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컴퓨터·전자·광학기기(3.4%), 전기장비(3.4%), 화학제품(3.0%), 제1차 금속제품(2.6%)도 상승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6월(107.40)보다 3.5% 높은 111.9로 2013년 9월(111.38)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해 11월(.0.6%) 이후 8개월째 상승세다. 전달 대비 농림수산물(6.0%), 컴퓨터·전자·광학기기(5.3%) 등의 상승률이 뚜렷했다. D램 반도체는 8.7%나 뛰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