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상장 후 첫 5일 수익률 노려라…연말 수익률은 25% 육박

공모주 상장 후 첫 5일 수익률 노려라…연말 수익률은 25% 육박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1-08-16 12:23
수정 2021-08-16 1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나금투, 2015∼2020년 IPO 기업 분석…시초가 대비로는 -5.8%
상장 후 한달 지난 시점 수익률 가장 부진

기업공개(IPO) 시장의 열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규 상장 주식의 상장 후 첫 5일간 수익률이 가장 양호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연말 수익률은 공모가 대비 평균 25%에 육박했다.

16일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코넥스시장에 상장한 IPO 기업들의 주가를 분석한 결과, 상장 후 해당 연도 연말의 평균 수익률은 공모가 대비 24.7%에 달했다.

지난해 증시에 입성했던 83개 기업(스팩 제외)의 연말 평균 수익률은 73.83%, 2017년 상장한 89개 종목의 수익률은 35.64%였다. 2015년(118개)과 2016년(82개), 2018년(101개), 2019년(91개) 신규 상장주의 평균 수익률도 모두 공모가 대비 각각 16.72%, 7.70%, 7.72%, 7.03%로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면, 시초가 대비 수익률은 -5.8%를 나타냈다. 시초가 대비 평균 수익률은 2017년(3.94%)과 2020년(3.94%)을 제외하면 마이너스였다. 2018년(-17.76%)과 2016년(-10.83%)에는 두자릿수 하락률을 나타냈다. IPO 기업들의 주식을 청약 시점에 공모가에 사는 것이 높은 수익률을 얻는 데 유리했음을 뒷받침하는 수치다.

이런 수익률은 올해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지난 6일까지 신규 상장한 53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공모가 대비 79.0%를 기록했다. 시초가 대비로는 11.71%였다.

이들 IPO 기업은 상장 후 5일간 수익률이 가장 양호했다. 상장 직후 5영업일 간 수익률은 공모가 대비 30.0%였지만, 12영업일 후에는 26.7%로 다소 떨어졌다. 한 달이 지난 시점에는 수익률이 가장 부진했다. 상장 한 달 즈음이 되는 19영업일과 26영업일에는 각각 23.6%와 23.7%였다. 이는 한 달이 넘은 33영업일(24.1%)과 40영업일(25.1%)보다도 낮았다. 올해에도 5영업일 시점 수익률은 63.96%로 가장 높았다.



청약 경쟁률은 높을수록 시초가가 높게 형성할 가능성은 컸다. 청약 경쟁률이 2500대 1 이상을 기록한 종목들은 상장일 평균 공모가의 100%에 거래를 시작했다. 1500∼2000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기업들은 공모가의 84.07대 1, 1000∼1500대 1의 경쟁률 기업은 74.50%를 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