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OECD 나랏빚 줄일 때 韓 채무비율 늘었다

작년 OECD 나랏빚 줄일 때 韓 채무비율 늘었다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2-06-13 20:16
수정 2022-06-14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회원국 일반정부 채무 5.5%P 감소
39개국 중 한국 포함 7곳만 상승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위기 2년차인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대다수가 경제규모 대비 나랏빚(채무비율)을 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은 60조원 넘는 세금이 더 걷혔음에도 채무비율이 상승했다. 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해 재정지출을 늘렸기 때문이다. 한국 재정건전성이 다른 나라보다 높다지만, 나랏빚 감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OECD는 지난해 39개 회원국의 일반정부 채무비율이 125.0%로 재작년(130.5%)보다 5.5% 포인트 감소했다고 13일 밝혔다. 일반정부 채무비율은 정부와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를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캐나다·이탈리아 등 주요 7개국(G7)을 포함해 32개국이 이 기간 채무비율을 줄였다.

채무비율이 상승한 곳은 7개국인데, 한국이 포함돼 있다. 한국의 경우 재작년 45.4%에서 지난해 47.9%로 2.5% 포인트 올라갔다. 대부분 국가가 코로나19로 늘렸던 재정지출에 제동을 걸었지만, 한국은 그렇게 하지 못한 것이다. 특히 한국은 지난해 세수가 예산안 편성 당시 전망보다 61조 4000억원이나 많았음에도 채무비율이 증가했다. 더 들어온 세수 이상을 쓴 것이다.

한국의 채무비율은 OECD 회원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재정건전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OECD 회원국 중 상당수가 기축통화국인 반면 한국은 비기축통화국이라 같은 잣대로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또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복지지출 증가 등으로 앞으로도 채무비율이 악화되는 것도 걸림돌이다. OECD는 내년 한국의 채무비율이 51.1%로 2020년(45.4%)보다 5.7% 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새 정부는 국정 과제 중 하나로 재정준칙 도입을 통해 채무비율을 관리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재정준칙이란 채무비율 등 재정건전성 지표가 일정 수준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강제적 규범을 말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전임 기재부 장관 초청 특별대담에서 “국제 신용평가사가 우리 재정건전성을 경계감을 갖고 바라보고 있다”며 재정준칙 도입 의지를 밝혔다.

2022-06-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