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기준금리 0.25% 포인트씩 점진적 인상 바람직”

이창용 한은 총재, “기준금리 0.25% 포인트씩 점진적 인상 바람직”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8-01 13:35
수정 2022-08-01 1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빅스텝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어”
“물가 상승세는 2~3개월 지속 전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김명국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김명국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일 “현 시점에서는 물가 위험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씩 올려 물가 상승세를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 출석해 “유가 등 해외 요인에 변화가 없다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는 상승세가 2~3개월 지속된 뒤 조금씩 안정될 것으로 본다”며 기준금리 인상 기조 유지 방침을 밝혔다. 그는 “물가가 예상했던 기조에서 벗어나면 금리 인상의 폭을 그때 가서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며 “빅스텝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기준금리 인상이 서민 고통을 키운다는 김영선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물가 오름세를 방치하면 더 큰 비용이 수반된다”며 “금리를 통해서라도 물가 오름세 심리를 꺾는 것이 거시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우리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2분기 경제성장률을 0.3% 정도로 전망했는데 실제로는 소비가 늘어 0.7%로 나왔다. 국내 경기가 크게 나빠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성장률이 2%를 밑돌 가능성은 크지 않아 아직까지 지켜보고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확답하기는 조금 이르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