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경기지수 4개월째 ‘빨간불’… 새달 전망도 먹구름

제조업 경기지수 4개월째 ‘빨간불’… 새달 전망도 먹구름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09-25 20:14
수정 2022-09-26 06: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PSI 소폭 올랐지만 기준점 밑돌아
새달 내수·수출 부정적 평가 우세

이미지 확대
전남 영암군 대불국가산업단지 내 한 선박 부품 제조업체 모습. 기사와 사진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서울신문DB
전남 영암군 대불국가산업단지 내 한 선박 부품 제조업체 모습. 기사와 사진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서울신문DB
전문가들이 평가한 9월 제조업 경기지수가 4개월 연속 기준(100)을 하회했다. 10월 경기 전망도 금리·물가·환율 등 ‘3고 현상’ 등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9월보다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연구원은 233개 주요 업종별 전문가 169명을 대상으로 7월 산업경기 서베이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제조업 업황 PSI가 87로 올해 6월부터 4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고 25일 전했다. 다만 지난 7월 PSI가 73까지 하락하며 2020년 4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후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다.

PSI는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업황이 개선,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됐다는 의견이 많음을 나타낸다.

항목별로 보면 내수(89)와 수출(95)이 전달보다 각각 9포인트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했고, 생산(97)도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재고수준(110)이 3개월 연속 100을 상회한 반면 투자액(88)은 4개월 연속 100을 하회하고, 채산성(87)도 여전히 낮았다.

업종별로는 기계(104) 부문이 8월보다 11포인트 상승하며 7개월 만에 100선을 넘어섰다. 정보통신기술(ICT·71)과 소재(77)도 각각 14포인트, 2포인트 올랐지만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세부 업종별로는 휴대폰(100)이 31포인트 올랐고 반도체(48)와 바이오·헬스(114), 조선(95)도 각각 상승 전환했다. 다만 디스플레이(59)와 섬유(74) 업종은 하락했다.

10월 제조업 전망 PSI는 91로 부정적 평가가 우세했다. 내수(91)와 수출(94)이 소폭 하락한 반면 생산(100)과 투자액(90)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2-09-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