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6조원 ‘잭팟’ 터졌다…글로벌 그린수소 프로젝트 플레이어 도약

SK에코플랜트 6조원 ‘잭팟’ 터졌다…글로벌 그린수소 프로젝트 플레이어 도약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3-05-17 16:03
수정 2023-05-17 16: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K에코플랜트가 6조원 규모 대륙 간 초대형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캐나다 뉴지오호닉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 투자협약식에서 박경일(왼쪽) SK에코플랜트 사장과 존 리즐리(오른쪽) 월드에너지GH₂ 회장이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제공
1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캐나다 뉴지오호닉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 투자협약식에서 박경일(왼쪽) SK에코플랜트 사장과 존 리즐리(오른쪽) 월드에너지GH₂ 회장이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제공
SK에코플랜트는 1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캐나다 월드에너지GH₂와 45억 달러(약 6조원) 규모 ‘뉴지오호닉 그린수소 1단계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월드에너지GH₂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의 스티븐빌 지역에 기반을 둔 대규모 그린 수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뉴지오호닉은 원주민 언어로 ‘모래바람이 불어오는 곳’이란 뜻으로 프로젝트 현장인 뉴펀들랜드섬은 풍력발전의 최적지로 평가된다.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탄소 배출 없이 그린수소를 뽑아내고, 이를 다시 그린 암모니아로 전환해 유럽 등 타 대륙으로 운송할 예정이다. 그린수소는 2025년 3월, 그린 암모니아는 2026년 3월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프로젝트 인포그래픽
프로젝트 인포그래픽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약 15억 달러(약 2조원) 규모 독점적 수주 기회를 확보했다. 전체 프로젝트의 기본설계를 비롯해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를 공급하고 설치한다. 풍력발전단지 설계·조달·시공(EPC) 참여 관련 논의도 진행 중이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그린수소 사업의 핵심 플레이어로서 대륙 간 초대형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며 “SK에코플랜트가 환경∙에너지 기업으로 탈바꿈한 이후 거둔 대규모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