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연속 낮췄다 “올 성장률 1.4%”

5연속 낮췄다 “올 성장률 1.4%”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5-26 04:11
수정 2023-05-26 04: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은 전망치 하향 조정

“中경제 회복 더딜 땐 1.1% 될 수도”
기준금리 3.5%… 3회 연속 동결
스태그플레이션 먹구름 짙어져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수치(2월·1.6%)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1%대 초·중반의 경제성장률과 3%대 중반의 물가상승률이 겹친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저성장)의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한은은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수치에서 0.2% 포인트 낮춘 1.4%로 제시했다. 한은은 지난해 2월까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유지했지만 이후 다섯 차례에 걸쳐 하향 조정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과 국제통화기금(IMF),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한국개발연구원(KDI),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등이 제시한 1.5%보다도 낮은 수치다.

한은은 중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디고 선진국의 금융 불안이 확대될 경우 성장률이 1.1%까지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이창용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을 1.4%로 하향 조정한 것은) 정보기술(IT)과 반도체 경기, 중국 경기의 회복 속도가 생각보다 늦어지는 게 가장 큰 이유로, 중국의 성장이 내수 중심이어서 주변국으로 효과가 전파되는 속도가 느리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경제의 ‘상저하고’(上低下高) 패턴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하반기 경기 반등은) 한 분기 늦춰지는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3.5%로 제시해 2월의 전망을 유지했다. 그러나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 주는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2월·3.0%)보다 0.3% 포인트 오른 3.3%로 상향 조정했다.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지난 2월과 4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동결했다.

2023-05-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