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 첫 ‘2경원’ 돌파… 가구당 순자산은 4% 줄어 ‘5억 2071만원’

국부 첫 ‘2경원’ 돌파… 가구당 순자산은 4% 줄어 ‘5억 2071만원’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7-21 01:33
수정 2023-07-21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은·통계청, 국민대차대조표 발표

지난해 국민순자산 2경 380조원
증가폭은 ‘11.1%→2.2%’ 둔화

집값·주식 하락에 가계 자산 타격
비금융자산 가격 IMF 후 첫 감소

이미지 확대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부(國富)가 처음으로 2경원을 돌파했다. 그러나 집값과 주가 등 자산 가격의 하락으로 가계 순자산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며 주택과 토지 등 비금융자산의 가격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던 1998년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20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민순자산(國富)은 2경 380조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2%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지난해(+11.1%)에 비해 큰 폭으로 둔화됐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우리나라의 가계와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의 자산 및 부채 등을 집계한 자료로 국부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국민순자산의 증가세를 꺾은 것은 지난해 본격화된 부동산 가격 하락이었다. 구체적으로는 2021년 899조 2000억원 증가했던 토지자산이 118조 9000억원 줄며 감소 전환했고 2021년 625조 2000억원 증가했던 건설자산은 지난해 213조 5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일반정부(5242조원, +2.6%)와 비금융법인(3392조원, +21.6%), 금융법인(509조원, +4.5%)의 자산은 모두 증가했지만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1경 1236조원)만 317조 8000억원(-2.8%) 감소하며 유일하게 뒷걸음질쳤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절반을 주택(51.0%)이 차지하고 있어 지난해 부동산시장 위축의 타격으로 비금융자산이 302조 7000억원 감소한 데다 주가 하락으로 금융순자산도 15조 1000억원 줄었다. 한은과 통계청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을 추계 가구수로 나눠 가구당 순자산액을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지난해 말 가구당 순자산은 5억 2071만원으로 전년(5억 4301만원) 대비 4.1% 줄었다. 이를 시장환율(2022년 중 미 달러당 1291원)로 환산하면 40만 3000달러로, 전년(47만 5000달러) 대비 줄어 일본(49만 2000달러)에 밀렸다.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서 2021년 7.7% 뛰었던 전체 비금융자산 가격은 지난해 -0.4% 하락 전환했다. 전체 비금융자산의 가격이 내려간 것은 1998년(-4.1%) 이후 24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경 4710조원으로 전년 대비 34조 9000억원(-0.2%) 감소로 돌아섬에 따라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5.8%로 전년(77.1%) 대비 줄어들었다. 비금융자산 대비 부동산의 비중이 줄어든 건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2023-07-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