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제공
대한상공회의소는 30일 ‘최근 중국경제 동향과 우리 기업의 영향’ 자료를 통해 중국경제가 직면한 불안 요인으로 부동산시장의 금융 불안, 내수소비 위축, 산업 생산 및 수출 둔화를 꼽고 하반기 실적반등을 노리는 우리기업에게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중국 경제 불안요인을 부동산에서 찾았다. 중국 최대 부동산 업체인 비구이위안이 채무불이행 위험에 있으며 소호차이나나 중룽 신탁 등 개발사와 금융사의 채무불이행으로 이어지면서 부동산시장 금융불안과 경기침체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리오프닝 효과로 지난 4월 18.4%까지 올랐던 소매판매 증가율이 7월에는 2.5%까지 떨어지면서 내수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것도 중국 경제 불안요인으로 분석됐다.
중국 경제의 불안요인으로 인해 우리 기업에도 직간접 영향이 있다. 대한상의가 대중국 수출기업 30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근 중국 경기상황이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에 32.4%는 ‘이미 매출 등 실적에 영향’, 50.3%는 ‘장기화시 우려’라고 답해 대다수 기업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나타났다.
경영실적의 어떤 부문에 영향을 받는지를 묻는 질문에 42.7%는 ‘중국 내 소비재 판매 감소’, 32.7%는 ‘부품, 소재 등 중간재 판매 감소’, 16.6%는 ‘현지법인 실적 악화’라고 대답했다.
중국시장에서의 연초 목표 대비 경영실적과 관련, ‘목표대비 저조’(37.7%) 또는 ‘매우저조’(14.7%)라고 응답한 기업이 과반을 넘었다. ‘목표수준 달성’은 45%, ‘초과달성’(2.3%) 혹은 ‘크게 초과 달성’(0.3%)이라 응답한 기업은 2.6%에 그쳐 리오프닝 기대감에 비해 실적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올 1~7월 대중국 수출은 전년 대비 -25.9%로 크게 감소했다. 주요 수출품목도 모두 부진했는데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는 -40.4% 감소했으며 디스플레이(-45.7%), 석유화학(-22.5%) 등 기타 중간재도 감소폭이 컸다. 대표 소비재인 화장품(-25.3%), 무선통신기기(-12.9%)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향후 중국경제 전망에 대해 기업의 79.0%가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그 원인으로는 ‘산업생산 부진’(54.5%), ‘소비 둔화 추세’(43.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우리 기업이 중국 경제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제3국으로 판로 다변화(29.7%), 생산시설 제3국 이전(6.3%)과 같은 탈중국 전략과 중국시장에서 품목 다변화(18.7%), 가격경쟁력 강화(20.0%) 같은 중국 집중 전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최근 중국 경기부진의 원인이 디레버리징(부채 축소)과 같은 장기적 구조조정의 과정이라는 관측도 있어서 긴 호흡으로 대응방안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