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CI. 각 사 제공
국내 주요 금융지주들이 내년부터 감액배당(비과세배당) 도입을 검토하며 주주환원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본비율을 유지하면서도 배당 여력을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기조와 시장 요구를 동시에 충족하는 전략이라는 평가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금융은 내년 주주총회에서 감액배당 도입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올해 결산배당부터 이를 적용한다. 감액배당은 자본준비금을 줄여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한 뒤 배당재원으로 활용하는 구조로, 일반 배당과 달리 배당소득세(15.4%)가 면제된다.
금융지주들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감액배당에 신중한 입장이었지만, 하반기 들어 정부의 밸류업 정책 강화와 세제 논의가 구체화되면서 도입 검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감액배당 재원은 형식상 자본잉여금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이익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며 “자본비율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배당 여력을 확대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올해 주요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율은 KB금융 54%, 신한금융 46%, 하나금융 44%, 우리금융 38% 수준으로 추산된다. KB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CET1) 비율 13.83%를 기록하며 4대 금융 중 가장 높은 자본 여력을 바탕으로 환원율 50%를 처음 넘어설 전망이다. 신한금융도 자사주 소각과 분기배당을 확대해 내년에는 50%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은 2027년까지 환원율 5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우리금융은 CET1 13% 달성 이후 배당을 확대할 계획이다.
감액배당은 개인투자자에게 실질적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개인은 배당금 전액을 세금 공제 없이 수령할 수 있어 실질 배당수익률이 약 18%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배당소득 분리과세와 밸류업 로드맵의 방향성과도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금융권에서는 내년을 기점으로 감액배당이 사실상 ‘은행권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