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
쌀쌀한 날씨에 따뜻한 국물요리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간편식(HMR)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오뚜기가 지역 고유의 맛과 특색을 살린 ‘로컬대표 국물요리’(사진) 라인업을 강화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사골곰탕을 출시하며 국물 HMR 시장을 개척한 오뚜기는 냉장 중심이던 시장을 상온 제품으로 이끌었고, 건더기가 풍부한 3세대 제품으로 시장을 견인했다.
오뚜기는 ‘전국 각지의 스타일’, ‘맛집’, ‘지역 특산물’을 모티브로 한 총 21종의 로컬대표 라인업을 구축하며 콘셉트 차별화를 꾀했다. ‘부산식 돼지국밥’처럼 지역명을 직접 표기해 직관성을 높였고, ‘병천식 얼큰순대국밥’ 등 널리 알려진 요리 외에도 다양한 지역 특산물 정보를 패키지에 담아 소통을 강화했다. TV 광고에서는 ‘지역식’ 대신 ‘로컬’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친근함을 더했다.
이러한 로컬 전략에 힘입어 오뚜기의 국물요리 부문은 2024년 처음으로 연 매출 500억원을 달성했으며, 특히 로컬대표 국물요리 제품군은 최근 3년간 평균 20%가 넘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종로식 도가니탕’과 ‘청주식 돼지김치짜글이’가 대표적인 인기 제품이다.
오뚜기는 완도산 미역, 산청 우렁 등 지역의 우수한 특산물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이며 지역 상생에도 힘쓰고 있다. 오뚜기 관계자는 “소비자 의견을 반영한 다양한 제품을 지속해서 출시하고, 시장 반응이 좋은 로컬대표 라인업 제품들은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11-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전자레인지에 남은 생선 돌리면 안 되는 이유…꼭 먹어야 한다면 ‘이것’ 함께 [라이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20/SSC_20251120171736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