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영양제 배합… 태양광전지 나무

맞춤형 영양제 배합… 태양광전지 나무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3-01-08 20:28
수정 2023-01-09 08: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SG·디지털헬스 ‘웰빙테크’

이미지 확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CES 2023’ 삼성전자 전시관에, 저시력자와 시각장애인을 위한 TV 화면 모드인 릴루미노 모드가 소개되고 있다.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CES 2023’ 삼성전자 전시관에, 저시력자와 시각장애인을 위한 TV 화면 모드인 릴루미노 모드가 소개되고 있다.
“어떤 초인적인 힘이 생긴다면 10시간 동안 넷플릭스를 보는 능력과 눕자마자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능력 중 어떤 쪽이 좋은가요?”

터치스크린의 질문에 따라 몇 개의 답을 찍고 나니 화면에 8개의 동물 캐릭터 중에 독수리가 나왔다. 조그만 약통을 받아들고 스마트폰 ‘캐즐’ 앱을 열어 건강식품 디스펜서 ‘필키’에 대자 형형색색 젤리가 약통에 쏟아졌다. 체험이 아니라 실제였다면 젤리 대신에 ‘독수리’ 유형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제가 쏟아졌을 거라는 게 캐즐 관계자의 설명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이번 CES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나 건강 관련 전시 주목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 하루에 수만 명씩 죽음을 맞는 걸 목도하며 환경, 약자와 더불어 모두 함께 잘살기 위한 기술과 산업이 각광을 받게 된 셈이다.

롯데헬스케어는 맞춤형 영양제 배합 플랫폼 캐즐을 앞세워 CES에 참가했다. 넓지 않은 전시장은 관람객들로 붐벼 젤리 물량이 부족할 정도로 관심을 받았다.

일본의 배터리, 소형가전 업체인 파나소닉의 전시관 가운데엔 둥그런 ‘잎사귀’를 매단 커다란 나무가 서 있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나무’라고 이름 붙은 이 조형물의 잎은 차세대 태양광 전지로 만들어졌다. 원료 광물 페로브스카이트는 빛 흡수도가 매우 높고 뛰어난 전기적 특성을 가졌다. 삼성전자 TV에 탑재된 ‘릴루미노’ 기능 전시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저시력자, 시각장애인이 TV를 볼 때 사물을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도록 화면 명암비와 색상, 대비 등을 조절한다.

2023-01-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