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주관 서울시립대)가 채용한 ‘미세먼지 불법배출 시민참여감시단’이 서울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상시 감시체계 강화에 나선다. 최근 공개 추첨을 통해 선발된 50명의 감시단은 다음달부터 서울 25개 자치구에 배치돼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에 대한 집중 점검 활동을 시작한다.
28일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에 따르면 시민참여감시단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과 건설공사장의 미세먼지 불법배출 행위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격적인 미세먼지 농도 상승에 대비해 오는 12월부터 시행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성공적인 추진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활동했던 기존 감시단은 서울시 구석구석을 살피며 총 8만여 건의 점검 실적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5510곳, 비산먼지발생사업장 1만 9341곳, 자동차 배출가스, 공회전, 불법소각 등 기타오염원 5만 5192곳 등이다.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는 2025년도 활동을 위해 지난달 17일 채용공고를 시작해 지난 22일 최종 50명을 선발했으며, 이들은 다음달부터 각 자치구 현장에 2명씩 배치된다.
구자용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장은 “선발된 시민참여감시단을 통해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에 대한 상시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서울시와 협력해 오는 12월부터 시행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대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서울시 대기질 개선에 협력하는 전문기관으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8일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에 따르면 시민참여감시단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과 건설공사장의 미세먼지 불법배출 행위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격적인 미세먼지 농도 상승에 대비해 오는 12월부터 시행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성공적인 추진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활동했던 기존 감시단은 서울시 구석구석을 살피며 총 8만여 건의 점검 실적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5510곳, 비산먼지발생사업장 1만 9341곳, 자동차 배출가스, 공회전, 불법소각 등 기타오염원 5만 5192곳 등이다.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는 2025년도 활동을 위해 지난달 17일 채용공고를 시작해 지난 22일 최종 50명을 선발했으며, 이들은 다음달부터 각 자치구 현장에 2명씩 배치된다.
구자용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장은 “선발된 시민참여감시단을 통해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에 대한 상시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서울시와 협력해 오는 12월부터 시행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대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서울시 대기질 개선에 협력하는 전문기관으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