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개별소비세 인하 반영해 차값 내려

자동차업계, 개별소비세 인하 반영해 차값 내려

입력 2015-01-02 10:56
수정 2015-01-02 1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폴크스바겐 등 일부 수입차 업체는 인상

자동차업체 대부분이 개별소비세 인하분을 반영해 연초부터 2천㏄ 이상 차량에 대해 차값을 내렸다.

2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국내에서 파는 모든 2천㏄ 초과 자동차는 생산지와 무관하게 차 값에 포함된 개별소비세가 현행 6%에서 5%로 1%포인트 낮아짐에 따라 해당 차종의 차값이 수 십만원부터 최대 수 백만원선까지 인하됐다.

국산업체를 보면 현대·기아차의 경우 그랜저, 제네시스, 에쿠스, 싼타페, K7, 쏘렌토, 모하비 등의 모델의 가격이 36만∼134만원 내렸다. 에쿠스 5.0 프레스티지가 1억992만원으로 최대폭인 134만원 인하됐다.

한국GM은 지난해 12월부터 말리부, 캡티바, 알페온, 카마로 등 2천㏄ 이상 차종 4개에 대해 차량 가격의 1%인 31만∼46만원을 내려 팔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자사 플래그십(최고급) 세단인 SM7에 대해 차급에 따라 40만∼50만원 인하했다.

수입차도 대부분 개별소비세 인하를 적용해 판매가를 내렸다.

BMW 그룹 코리아는 국내 판매 중인 배기량 2천㏄ 이상 모델 25개에 대해 차종에 따라 40만∼100만원 가격을 낮췄다고 밝혔다. 대상 모델은 5·6·7시리즈와 GT, 고성능 M카 등이다. 가격 인하폭이 최대인 모델은 M6 그란 쿠페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역시 E-클래스, S-클래스 등의 2천㏄이상 차종에 대해 최저 40만원부터 최대 200만원까지 평균 1% 가격을 인하했다. 하반기 출시 신차도 인하분을 적용해 내놓는다.

도요타와 렉서스도 일부 가솔린 모델을 개별소비세 인상분을 반영해 소폭 내릴 예정이다. 하이브리드 전 차종은 보증정책 대폭 강화 등의 혜택을 준다.

반면 폴크스바겐과 아우디는 가격을 거꾸로 인상, 대다수 업체와는 다른 행보를 보였다.

폴크스바겐은 플래그십 세단 페이톤의 경우 8천550만원에서 8천740만원으로 2% 가량 올렸고, 티구안, 골프, 파사트 등 배기량 2천㏄ 미만 차량도 평균 2%가량 가격을 상향조정했다.

폴크스바겐 관계자는 “가격 인상은 물가상승에 따른 것”이라며 “본사의 방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동일하게 올린 것”이라고 말했다.

아우디 역시 평균 0.5% 차값을 인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