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체 9~10곳 거치니 4배 뛴 몸값… 양파의 ‘억울한 누명’

유통업체 9~10곳 거치니 4배 뛴 몸값… 양파의 ‘억울한 누명’

입력 2020-08-23 21:12
수정 2020-08-24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업·외식업 공생 통해 활로 찾자] <2> “저 원래 안 비싸요”…양파의 하소연

이미지 확대
농민들이 지난 21일 전남 함평군 엄다면 천지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서 양파를 자동 선별 기계에 투입하기 전에 육안으로 선별하고 있다. 특별취재팀
농민들이 지난 21일 전남 함평군 엄다면 천지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에서 양파를 자동 선별 기계에 투입하기 전에 육안으로 선별하고 있다.
특별취재팀
제 이름은 ‘무안 양파’입니다. ‘국민 채소’라고도 불러 주니 어깨가 으쓱할 때가 많아요. 그런데 제 몸값이 너무 올랐다고 가정주부나 식당 주인들의 불만도 만만찮습니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좀 억울합니다. 제 고향은 전남 무안인데 다 자라면 주로 서울로 올라옵니다. 올해 저를 길러 준 농민들이 받는 양육비(출하가격)는 ㎏당 500원이죠. 고향엔 친구들이 많다 보니 홀대를 받아요. 하지만 서울에서는 대접이 180도 달라집니다. 빨간색 망을 걸쳤을 뿐인데, 소비자들이 지불하는 몸값은 이달 평균 ㎏당 2039원입니다. 껍질을 벗고 세척까지 마치면 제 몸값(깐양파)은 ㎏당 3000원을 넘습니다.

불과 며칠 만에 몸값이 4~6배 뛰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고향을 떠나 식탁에 오를 때까지 저를 돌봐주는 사람(유통업체)이 9~10명에 이르기 때문이죠. 소비자들이 치르는 가격에서 이런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유통비용률)이 무려 70%가 넘는다고 합니다. 좀더 자세히 말씀드리죠. 저와 제 친구들은 2018년 기준 전국 2만 6425㏊의 밭에서 총 152만 1000t이 생산됐습니다. 무안은 양파 재배면적만 3177㏊로 전국 1위죠. 무안에서 제가 상경하는 길은 농협과 산지유통인 등 크게 두 갈래예요. 제 친구 중 일부는 농협의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로 갑니다. APC에서 매년 양육비를 정해 주는데 올해 수확철에는 ㎏당 500원으로 책정됐어요. APC에서는 제 친구들을 서울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 농협하나로마트, 대형마트 등으로 보냅니다.

보통은 산지유통인을 만나죠. ‘밭떼기’ 등으로 태어나기 전부터 주인이 정해지기도 해요. 산지유통인은 APC가 정한 가격을 기준으로 저를 데려갑니다. 저를 맡길 곳이 없는 산지유통인이 많다 보니 숙소(저장시설)를 빌려 보관료를 냅니다. 이어 가락시장을 비롯한 전국 도매시장(도매법인)으로 향하죠. 여기서 중도매인들이 저에게 새로운 몸값(경매가격)을 매겨요. 중도매인들은 저를 서울 경동시장처럼 한 품목만 전문적으로 대량 거래하는 왕도매인에게 데려다줍니다. 왕도매인은 저를 중간도매상인에게 보내고, 이들은 다시 소매상인에게 저를 넘겨 소비자들을 만나게 되지요.

이런 복잡한 유통 단계를 줄이는 게 쉽지 않나 봐요. 최근에 저를 산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 주인은 “양파를 저렴하게 사려고 경동시장에 갔는데 박스 단위로 사지 않으면 상대도 안 해 준다”며 한숨을 내쉬더군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조사해 보니 2018년 기준 무안 양파의 소비자가격은 ㎏당 1400원이었는데, 정작 농민들이 손에 쥔 돈은 292원(20.9%)이었다고 합니다. 나머지 1108원(79.1%)은 유통비용이랍니다. 몸값 때문에 생기는 저의 억울함이 빨리 풀릴 수 있도록 농민들의 손을 떠난 제가 좀더 빨리 소비자들을 만날 수 있게 해 주세요.

특별취재팀 shjang@seoul.co.kr



특별취재팀
장세훈·장은석 사내벤처팀
강병철·하종훈·나상현 기자
2020-08-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