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다감소 대통령, 최다증가 시의원

최다감소 대통령, 최다증가 시의원

입력 2010-04-02 00:00
수정 2010-04-02 09: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320개 기관의 고위 공직자 1천851명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지정구 인천시의회 의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 의원은 지난해 주식 평가액 상승 등으로 무려 46억4천233만원이 늘면서 재산 총액이 79억7천950만원이나 됐다.

☞고위직 공무원 재산공개 더 보기

이미지 확대
이명박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다음으로 나종기 대구시의원(44억4천521만원)이 신축 건물 완공에 따라 19억7천821만원,김쌍수 한국전력 사장(108억873만원)이 주식 평가액과 간접투자증권 수익 증가 등으로 인해 15억6천425만원 각각 늘어 재산 증가 2,3위에 올랐다.

 반면 작년 재산 등록 때 356억9천182만원을 신고해 행정부 공직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았던 이명박 대통령은 이후 재단법인 출연 등에 따라 307억7천829만원이 줄어들면서 감소액 순위 1위를 기록했다.

 또 나재암 서울시의원은 지난해 건물가액을 과다 신고했다가 정정하면서 재산이 줄고 건물 임대 채무는 늘어남에 따라 재산보다 부채가 22억330만원 더 많았다.

 지난해 재산 공개때 부친 재산 상속으로 81억3천470만원이 늘어 행정부내 재산증가액 1위를 기록했던 김수남 경북 예천군수는 작년 상속세 납부 등으로 22억1천794만원이 다시 줄어 재산 감소액 3위에 이름을 올렸다.

 행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 총액을 보면 지난해 이 대통령에 이어 2위(255억8천617만원)를 기록했던 진태구 충남 태안군수가 수위를 차지했다.

 진 군수는 작년 부동산 공시가격 하락과 자녀 결혼 비용 등으로 9억3천만원이 줄었지만 총 재산이 246억5천592만원에 달했다.

 작년 재산 총액 3~5위였던 이종학 서울시의원(182억2천435만원)과 백종헌 부산시의원(179억1천188만원),오거돈 한국해양대 총장(142억3천111만원)이 한단계씩 오르며 차례로 2~4위를 기록했다.

■<표>대통령실 재산 신고 현황

이미지 확대
행정안전부 제공 (단위 : 천원)
행정안전부 제공 (단위 : 천원)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