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고위공직자 65% 재산 증가

부산 고위공직자 65% 재산 증가

입력 2010-04-02 00:00
수정 2010-04-02 1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산시장과 부산시의회 의원, 기초자치단체장 등 재산공개 대상 부산지역 고위공직자 중 65%가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보를 통해 공개한 2010년 공직자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공직자윤리법에 따른 부산지역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인 부산시장.행정부시장.정무부시장 등 3명과 자치구.군 단체장 16명, 시의원 44명 등 총 63명 중 65%인 41명이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신고했다.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최찬기 동래구청장으로 사업 소득과 예금이자 수입 증가 등으로 14억2천186만원이 늘어난 총액 92억9천691만원을 신고했다.

2008년 본인 명의의 건물 과표를 잘못 적용했다가 수정했다며 지난해 20억4천226만원이 늘어났다고 신고해 화제를 모았던 배덕광 해운대구청장은 올해도 1억653만원이 늘어난 52억209만원을 신고했다

재산총액에서는 백종헌(금정1) 부산시의회 의원이 8억6천578만원이 증가한 179억1천188만원을 신고, 부산지역 고위공직자 중 최고액을 기록했다.

백 의원은 중앙(708명)과 지방(1천143명) 등 전체 1천851명 중 재산총액 상위에서 3위를 차지하는 재력을 과시했다.

최대수(사하2) 시의원은 91억6천327만원을 신고했는데, 최 의원은 채권감소 등의 이유로 10억342만원이 감소했다.

제종모(중1) 시의회 의장도 차남에게 주식을 증여하는 바람에 15억6천392만원이 줄었다며 총액 63억1천6만원을 신고했지만, 재산총액 서열에서는 여전히 상위에 랭크됐다.

6.2 지방선거에서 3선에 도전할 허남식 부산시장은 공시가격 하락을 이유로 4천986만원이 준 12억4천163만원을 신고했고, 지방선거 이후 교육감직에서 물러날 설동근 부산시 교육감은 급여를 저축해 8천106만원이 늘어난 17억2천711만원을 신고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 17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영도매시장인 서울 가락시장에서 열린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가락김장축제)’에 참석해 김장 담그기 작업에 참여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 가락김장축제는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8년째 이어지는 가락시장의 대표 나눔 행사이며, 시장을 구성하는 유통인과 공사가 예산을 마련하고 시민·봉사자들이 함께 김치를 담그며 겨울철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전통적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올해 행사에는 가락시장 유통인, 기업, 자원봉사자, 어린이, 외국인 등이 참여해 대규모 김장 작업이 진행됐으며, 현장에서 완성한 1만 상자(100t 규모)의 김치는 행사 종료 후 서울시 전역의 취약계층·복지시설 등에 기부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현장 제작 김치만 약 1500상자(전체 기부량의 15%)에 달해 공동체 참여의 의미가 더욱 확대됐다. 구 의원은 김치 명인과 함께 직접 김장을 담그며 일손을 보탰으며,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 속에서도 나눔에 함께한 시민들과 봉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또한 구 의원은 “김장은 우리 이웃을 하나로 이어온 전통이자 따뜻한 나눔의 문화”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한편, 한국해양대 오거돈 총장은 12억374만원이 증가한 142억3천111만원을 신고해 중앙과 지방 통틀어 재산총액 순위 4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