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 아파트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하지만 반(半) 전세인 보증부 월세 아파트 매물은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집주인은 오른 전세금만큼을 월세로 받으려는 반면 세입자는 매달 내야 하는 월세가 많다고 전세를 찾아다니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월세 이율이 여전히 은행 예금이자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9일 KB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1월 현재 임대차 계약 구성비는 전세 57%, 보증부 월세 40.2%, 순수 월세(사글세) 2.8%로 3년 전인 20 08년 같은 달에 비해 전세는 2.4%포인트 낮아졌지만 보증부 월세는 2.3%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오른 전세 보증금의 일부를 월세로 받는 보증부 월세의 경우 보증금의 6~12%를 매달 나눠 내는 방식이다. 연 3.8% 안팎인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의 두배에서 많게는 세배에 이른다. 이것이 집주인들이 선호하는 이유다.
대학가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 소형 주택은 월세 부담액이 크지 않아 12%를 적용한다. 전세 6000만원짜리 원룸을 보증금 1000만원에 매월 50만원씩 내는 형태다. 월세를 연간 기준으로 잡으면 600만원이어서 보증금 5000만원에 대한 이자로 계산하면 연간 이율은 12%가 된다. 이 때문에 요즘 소형 오피스텔이나 도시형 생활주택이 투자 1순위로 손꼽힌다.
부동산114 김규정 리서치센터장은 “월세 이율은 지역, 주택 크기, 가격, 주변 전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시중에 ‘1부 이자의 원칙’이 통용된다.”면서 “연 12% 이율이면 정기예금 금리의 몇 배가 넘어 집주인은 선호하는 반면 세입자는 어떻게든 피하려 든다.”고 말했다. ‘1부’(ぶ)는 ‘1푼’(分)의 일본어로, 1%(0.01)이다. 월세 이율이 1%이면 ‘1부 이자’와 같은 표현이다.
김 센터장은 “주택의 크기나 입지에 상관없이 월세 이율이 연 5~6% 수준으로 떨어져야 세입자들이 보증부 월세 물건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월세 이율이 여전히 은행 예금이자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9일 KB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1월 현재 임대차 계약 구성비는 전세 57%, 보증부 월세 40.2%, 순수 월세(사글세) 2.8%로 3년 전인 20 08년 같은 달에 비해 전세는 2.4%포인트 낮아졌지만 보증부 월세는 2.3%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오른 전세 보증금의 일부를 월세로 받는 보증부 월세의 경우 보증금의 6~12%를 매달 나눠 내는 방식이다. 연 3.8% 안팎인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의 두배에서 많게는 세배에 이른다. 이것이 집주인들이 선호하는 이유다.
대학가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 소형 주택은 월세 부담액이 크지 않아 12%를 적용한다. 전세 6000만원짜리 원룸을 보증금 1000만원에 매월 50만원씩 내는 형태다. 월세를 연간 기준으로 잡으면 600만원이어서 보증금 5000만원에 대한 이자로 계산하면 연간 이율은 12%가 된다. 이 때문에 요즘 소형 오피스텔이나 도시형 생활주택이 투자 1순위로 손꼽힌다.
부동산114 김규정 리서치센터장은 “월세 이율은 지역, 주택 크기, 가격, 주변 전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시중에 ‘1부 이자의 원칙’이 통용된다.”면서 “연 12% 이율이면 정기예금 금리의 몇 배가 넘어 집주인은 선호하는 반면 세입자는 어떻게든 피하려 든다.”고 말했다. ‘1부’(ぶ)는 ‘1푼’(分)의 일본어로, 1%(0.01)이다. 월세 이율이 1%이면 ‘1부 이자’와 같은 표현이다.
김 센터장은 “주택의 크기나 입지에 상관없이 월세 이율이 연 5~6% 수준으로 떨어져야 세입자들이 보증부 월세 물건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2-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