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최근 1년간 인가받은 20개 리츠 중 5개가 총 1308억원을 투자, 2013년 상반기까지 도시형 생활주택 1161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사업 승인된 도시형 생활주택 2만 2217가구의 5.2%에 해당하는 규모다. 유형별로는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이 1012가구로 전체의 87.1%를 차지했으며 단지형 다세대주택은 149가구(12.9%)였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시도 지난해까지 건축허가가 난 도시형 생활주택 9906가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입주한 797가구를 제외한 7000여 가구가 올해 공급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올 3월 ‘프라임팰리스’ 분양
올해는 지난해보다 허가가 더 많이 날 것으로 예상돼 내년도 입주물량은 올해의 1.5배를 웃도는 1만 5000가구로 급증할 전망이다.
동아건설은 3월 첫 도시형 생활주택인 ‘프라임팰리스’ 분양에 나선다. 서울 문배동 일대에 들어설 프라임 팰리스는 지하 1~3층엔 근린상가와 공원, 지상 4~12층엔 오피스텔 100실, 지상 13~20층엔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 83가구로 구성된다. 소형주택 브랜드 ‘쁘띠린’으로 도시형 생활주택 사업에 뛰어든 우미건설도 4월쯤 서울 상도동 일대에 도시형 생활주택 140여 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GS·한원건설 올 상반기 공급
GS건설은 이대역 인근인 서대문구 대현동에 첫 도시형 생활주택 92가구를 올해 상반기 내에 공급할 방침이다. 한원건설도 3월쯤 세 번째 상품인 ‘아데나 339’를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 대방동 일대에 들어설 이 도시형 생활주택은 지하 1층~지상 8층 총 141가구로 구성될 예정이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