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7개 아파트 100% 마감 수도권은 12곳 3순위서도 미달
올봄 전국 분양시장은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지난해 가을부터 시작된 부산의 ‘분양 훈풍’이 식을 줄 모르고 광주, 울산, 대전 등지로 번졌지만 수도권은 입지와 분양가 등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반응이 갈라지는 등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뚜렷했다.
1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3~4월 분양된 전국 55개 아파트 가운데 1~3순위 안에서 모집가구 수를 다 채운 아파트 단지는 모두 27곳으로 절반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9곳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7곳, 경기와 전남이 각각 3곳, 경남이 2곳, 울산·전북·충남이 각각 1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은 이 기간에 청약접수한 아파트 7곳이 100% 청약마감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전북도 분양시장에 나온 1곳이 순위 내 마감에 성공했다. 지난해 가을부터 부산에 불기 시작한 아파트 청약 열풍은 중대형 위주의 화명 롯데캐슬카이저 2차와 다대 푸르지오 2차도 어김없이 모집가구 수를 채웠다. 분양 아파트 14곳 중 9곳이 청약마감된 서울, 5곳 중 3곳이 청약마감된 전남, 2곳 중 1곳이 마감된 충남과 울산 등도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경북과 강원(이상 2곳), 대구(1곳)에서는 모두 순위 내 청약마감에 실패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부동산 시장의 큰 흐름을 좌우할 수도권 분양시장은 참담한 성적을 냈다. 올해 3~4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곳이 청약을 받은 경기 지역에서 12곳이 3순위까지 모집가구 수를 채우지 못했다. 특히 5개 건설사가 합동 분양에 나서며 다양한 마케팅과 광고 등을 했던 김포한강신도시조차 예상보다 청약률이 낮았다.
김규정 부동산114 리서치 센터장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아직도 미분양이 많고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등으로 고전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지방은 5년 동안 거의 신규 물량 공급이 없었고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70% 이상이어서 매매전환 수요가 많다.”고 말했다. 따라서 김 센터장은 수도권 분양시장은 상당시간 고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5-0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