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이 추락하던 집값이 이날 말 들어 미세하나마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는 정부의 주택경기 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대감에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9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주(4월 21일~23일) 서울의 집값은 0.01%, 수도권은 0.02% 각각 올랐다. 신도시는 변동이 없었다. 전셋값은 서울과 신도시가 각각 0.01%씩 하락했고, 수도권만 0.04% 올랐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강남구 0.18%, 송파구가 0.37% 올랐다. 재건축 아파트가 오름세를 보인 것은 올 들어 처음이라고 부동산114 관계자는 설명했다.
실제로 개포주공 1~2단지, 가락시영 1~2단지 등 강남권의 대표적인 재건축 아파트는 가격이 1000만원 안팎 올랐고, 잠실 주공 5단지는 저가 매물이 빠지면서 호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다음 달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주택거래 활성화 대책과 서울시 역시 재건축 정책을 바꿀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양천, 광진, 노원, 도봉, 중랑 등 강북권은 대부분 0.08~0.13%가량 가격이 하락했다. 양천구 목동의 경우 신시가지 2단지 목동 롯데캐슬위너 등이 한 주새 2000만원 이상 가격이 떨어졌다. 광진구도 매수세가 없어서 가격은 하향세다. 광장동 광장현대 3단지, 구의동 현대프라임 등이 한 주 동안 500만원 안팎 하락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