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8 전·월세 대책 발표에 힘입어 오름세를 보인 아파트의 매매가격 상승폭이 줄어들고 전셋값은 다시 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22일 리얼투데이가 한국감정원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14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0.29%로 전주 0.26%보다 0.03%포인트 확대됐다.
수도권과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각각 0.38%, 0.41%로 각각 1주일 전보다 0.03%포인트, 0.04%포인트 커졌다.
서울에서는 강남구가 0.37%로 전주보다 0.12%포인트 올랐고, 서초구는 전주 0.28%에서 0.37%로 확대됐다.
강북에선 학군이 우수한 노원구가 0.94%로 1주일 전보다 0.68%포인트나 커졌다. 양천구는 0.07%에서 0.39%로 상승률이 높아졌다.
반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전주보다 쪼그라들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4%로 전주보다 0.04%포인트 줄어들었다.
수도권은 전주보다 0.07%포인트 떨어진 0.15% 상승하는 데 그쳤고 서울은 0.16%로 0.04%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서초구와 강남구는 각각 0.33%, 0.12%로 전주보다 각각 0.27%포인트, 0.06%포인트 커졌다.
양지영 팀장은 “가을이사철 등으로 학군 좋은 지역 중심으로 전세수요가 다시 늘어나면서 전셋값은 다시 오르고 있으나, 취득세 영구 감면 등 주요 정책 실행 시기가 지연되면서 매매가격은 다시 위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2일 리얼투데이가 한국감정원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14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0.29%로 전주 0.26%보다 0.03%포인트 확대됐다.
수도권과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각각 0.38%, 0.41%로 각각 1주일 전보다 0.03%포인트, 0.04%포인트 커졌다.
서울에서는 강남구가 0.37%로 전주보다 0.12%포인트 올랐고, 서초구는 전주 0.28%에서 0.37%로 확대됐다.
강북에선 학군이 우수한 노원구가 0.94%로 1주일 전보다 0.68%포인트나 커졌다. 양천구는 0.07%에서 0.39%로 상승률이 높아졌다.
반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전주보다 쪼그라들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4%로 전주보다 0.04%포인트 줄어들었다.
수도권은 전주보다 0.07%포인트 떨어진 0.15% 상승하는 데 그쳤고 서울은 0.16%로 0.04%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서초구와 강남구는 각각 0.33%, 0.12%로 전주보다 각각 0.27%포인트, 0.06%포인트 커졌다.
양지영 팀장은 “가을이사철 등으로 학군 좋은 지역 중심으로 전세수요가 다시 늘어나면서 전셋값은 다시 오르고 있으나, 취득세 영구 감면 등 주요 정책 실행 시기가 지연되면서 매매가격은 다시 위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