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금, 도시근로자 가구의 6년치 소득

서울 아파트 전세금, 도시근로자 가구의 6년치 소득

입력 2014-02-24 00:00
수정 2014-02-24 07: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득 대비 전세가 부담 최근 10년간 최고

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이 도시 근로자 가구의 5.7년(약 5년8개월)치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과 비교하면 도시근로자 가구가 번 돈을 한 푼도 안 쓰면서 모을 때 서울 시내 아파트 전세 보증금 마련에 걸리는 기간이 평균적으로 1년6개월 이상 더 늘어난 셈이다.

서울 뿐 아니라 수도권 아파트 전세금은 4.1년치, 전국은 3.3년치의 소득에 해당되면서 소득 대비 전세금 부담이 모두 최근 10년 사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114는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 707만여 가구의 전세금과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이처럼 분석됐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은 작년말 평균 전세가격이 3억1천265만원으로,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 연간 소득(5천527만원)의 5.66배에 달했다.

소득에 대한 서울 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PIR)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큰 2008년에는 4.12배에 그쳤으나 2011년 5.28배까지 상승하다가 2012년 5.15배로 다소 완화된 뒤 지난해 다시 급등했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인 최근 10년(2004∼2013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으로 작년말 현재 서울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1년 전(2억7천767만원)보다 12.6%나 올랐다.

2004년 말(1억5천432만원)의 전세가는 현재의 절반 수준이었다.

다른 지역도 비슷한 추세를 보여 지난해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은 수도권과 전국 모두 최근 10년 사이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4.05배, 전국은 3.25배다.

서울 시내 주요 구별로는 서초 9.74배, 강남 9.08배, 송파 7.84배, 용산 7.71배 등 순으로 높았고 그나마 평균 전세가가 낮은 지역인 노원(3.43배), 도봉(3.47배) 등도 3배를 훌쩍 뛰어넘었다.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미만(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5.87배, 수도권이 4.35배, 전국이 3.63배였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의 최성헌 차장은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전세 공급물량이 부족해 전세가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는 만큼 당분간 더 도시 근로자의 부담이 커질 것 같다”고 말했다.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 착공식 참석

서울시의회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송파3, 국민의힘)은 13일 송파구 숯내공원에서 개최된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1구간)’ 착공식에 참석했다.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은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에서 잠실동 삼성교까지 총 4.9km 구간의 탄천 제방도로와 하단도로의 통합 정비 및 구조개선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동남권 일대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교통량 증가로 인한 상습 정체를 해소하고, 동부간선 우회도로 기능 확보를 통한 지역 간 이동성과 접근성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사업은 총 2개 구간으로 나눠 진행되고 있으며, 1구간은 올림픽훼밀리아파트에서 광평교사거리까지 0.6km(왕복 6차로), 2구간은 광평교사거리에서 삼성교 북단까지 4.3km(왕복 4~6차로)다. 이번 착공식은 1구간 공사에 대한 것으로 2005년 사업계획이 수립된 이후 20년 만에 실시된 것이다. 임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수많은 행정절차와 난관을 넘어 계획된지 무려 20년 만에 첫 삽을 뜨게 되어 감회가 크다”라며 “단순한 도로 정비가 아니라 서울 동남권 교통체계를 새롭게 설계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조개선을 통해 동남권 교통
thumbnail -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 착공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