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아파트 값이 꾸준히 오르며 22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5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6월 첫째 주 서울의 아파트값은 0.09% 상승했다.
통상 부동산 시장이 비수기로 접어드는 6월은 가격이 내려가거나 보합세를 보이는데 올해는 예년과 달리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장기간 이어진 전셋값 오름세와 전세난의 영향으로 매매로 전환하는 실수요층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도시(0.02%)와 경기·인천(0.03%)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도 상승폭이 낮기는 하지만 오름세가 유지되고 있다.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관악구(0.27%), 중구(0.27%), 중랑구(0.20%), 강서구(0.18%), 도봉구(0.17%), 송파구(0.13%) 순으로 강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광교(0.06%), 산본(0.05%), 평촌(0.04%), 판교(0.03%), 중동(0.02%) 순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인천은 과천시(0.15%), 하남시(0.09%), 안산시(0.06%), 의왕시(0.06%), 고양시(0.05%), 안양시(0.05%), 구리시(0.04%)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6월 비수기에도 서울이 0.17% 올라 지난주(0.16%)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폭을 보였고 신도시(0.04%)와 경기·인천(0.06%)도 오름세를 보였다.
연합뉴스
5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6월 첫째 주 서울의 아파트값은 0.09% 상승했다.
통상 부동산 시장이 비수기로 접어드는 6월은 가격이 내려가거나 보합세를 보이는데 올해는 예년과 달리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장기간 이어진 전셋값 오름세와 전세난의 영향으로 매매로 전환하는 실수요층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도시(0.02%)와 경기·인천(0.03%)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도 상승폭이 낮기는 하지만 오름세가 유지되고 있다.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관악구(0.27%), 중구(0.27%), 중랑구(0.20%), 강서구(0.18%), 도봉구(0.17%), 송파구(0.13%) 순으로 강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광교(0.06%), 산본(0.05%), 평촌(0.04%), 판교(0.03%), 중동(0.02%) 순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인천은 과천시(0.15%), 하남시(0.09%), 안산시(0.06%), 의왕시(0.06%), 고양시(0.05%), 안양시(0.05%), 구리시(0.04%)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6월 비수기에도 서울이 0.17% 올라 지난주(0.16%)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폭을 보였고 신도시(0.04%)와 경기·인천(0.06%)도 오름세를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