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 국제기구·명문대 입주…송도국제도시 아파트 수요↑

[부동산 정보] 국제기구·명문대 입주…송도국제도시 아파트 수요↑

입력 2016-05-27 18:08
수정 2016-05-27 18: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송도국제도시에 국제기구와 외국계 투자기업, 국내외 명문대 등의 입주가 속속 진행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사진=송도 센토피아 더샵 아파트 조감도
최근 송도국제도시에 국제기구와 외국계 투자기업, 국내외 명문대 등의 입주가 속속 진행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사진=송도 센토피아 더샵 아파트 조감도
최근 국제기구와 외국계 투자기업이 속속 입주하고 뉴욕주립대 등 유명대학이 들어서는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부동산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27일 송도국제도시 지역의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현재 송도에는 녹색기후기금(GCF)를 비롯해 세계은행, 세계선거기관협의회 등 13개 국제기구가 입주를 완료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생명공학(BT) 분야의 외국 투자기업 57개사와 대우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등 870여개 기업도 자리잡았다.

삼성그룹이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건립하고 올림푸스한국, 미쓰비시 등의 다국적 기업들의 유치도 예정돼 있어 인구 유입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2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도 송도국제도시의 개발 호재다. 오는 2025년 GTX가 개통될 예정으로, 잠실까지 약 30~40분대 진입이 가능해 다국적 기업 유치와 인구 유입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달 문을 연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을 시작으로 이랜드 복합쇼핑시설 및 롯데몰도 올해와 내년 말에 입주할 예정이다.

송도국제도시 지역의 한 공인중개사는 “최근 송도국제도시에 ‘센토피아’ 등 프리미엄 주거 브랜드 아파트도 속속 들어설 예정이어서 이 지역에 입주할 계획인 수요자는 물론 수도권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송도국제도시의 올해 첫 분양 아파트인 ‘송도 센토피아 더샵’은 총 3100여 가구로 조성되고, 이 지역은 송도국제도시 개발 지역의 중심부로 프리미엄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지역주택조합 관계자는 “이 지역은 입주하는 시점에 대형 개발호재들이 상당수 완료돼 단지 가격 상승폭이 커져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 “인천지하철 1호선 국제업무지구역과 송도랜드마크시티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어 교통도 편리하다”고 말했다.

한편 송도국제도시에는 연세대, 인천대, 뉴욕주립대 등 국내외 유명대학과 채드윅국제학교가 위치해 교육환경도 잘 갖춰져 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