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3기 신도시를 발표한 가운데 가장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단어가 바로 ‘자족도시’다. 자족도시란 주거시설이 갖추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을 벗어나지 않고도 업무, 교육, 여가, 쇼핑 등 모든 인프라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2기 신도시 중에서 완성형 자족신도시 성공사례로 꼽히는 곳이 바로 광교신도시다.
특별계획구역 내 수원컨벤션센터와 수원법조타운은 3월에 각각 개관과 개청을 시작으로 완공되거나 준공 시기가 다가오는 등 90%의 진척률을 보이며 그 모습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수원컨벤션센터의 경우 전시장을 비롯하여 백화점과 호텔, 아쿠아리움 등을 포함한 복합 MICE 단지로 추진되고 있다. 한 공간에서 전시회와 컨퍼런스, 숙박 등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3월 개청한 수원법조타운 역시 법원과 경찰청, 로펌 등이 입주함에 따라 상권 형성은 물론 관련 직종 업체들의 업무시설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경기도청, 교육청 등 각종 공공기관이 들어설 경기융합타운 역시 올해 말 마무리 단계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지며 광교신도시는 더욱 자족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는 가운데 한편에선 아직까지 주변에 들어선 업무시설의 공급이 부족한 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동안 광교 지역 내 업무시설 공급 형태를 살펴보면, 중소형 업무 빌딩과 지식산업센터의 공급이 주를 이뤘고 그마저도 특별계획구역 내 핵심시설 및 교통시설과의 접근성이 떨어진 위치에 편중된 경우도 많아 업무지구의 느낌이 들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광교신도시 내 응집해 있는 핵심시설 주변에 프라임급 오피스빌딩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다.
프라임급 업무시설의 필요성은 최근 ‘비상주 사무실’의 인기몰이에서도 알 수 있다. 회사의 규모를 떠나 대외적 이미지를 더 중시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대기업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기업들 역시 입주지역과 입주해 있는 빌딩마저 회사의 경쟁력으로 판단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러한 흐름 가운데 광교신도시 내 폭발적으로 증가할 업무시설 수요층과 대외적 이미지를 고려하는 프라임급 업무 빌딩 수요층의 갈증을 동시에 해결해줄 수 있는 업무시설이 준공을 앞두고 있어 눈길을 끈다. 주인공은 바로 수원컨벤션센터 바로 옆, 호수 변에 올해 10월 말 입주 예정인 ‘광교 SK VIEW Lake(광교 SK 뷰 레이크)’다.
광교 SK VIEW Lake는 광교신도시 내에서 만나볼 수 없던 최소단위 모듈화 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니즈에 맞게 사무실 규모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섹션 오피스 형태의 업무시설로 중소형 업체부터 대기업 및 금융기관까지 다양한 업체의 입점이 가능하다.
또 약 175m, 41층의 높이를 자랑하며 광교신도시의 스카이라인의 마침표를 찍게 될 광교 SK VIEW Lake를 필두로 상주업체의 증가, 경기융합타운의 완성 등 특별계획구역 내 개발 호재가 완성되면 광교신도시는 한층 강화된 자족 기능으로 2기 신도시 중 그 성공 입지가 좀 더 단단해질 전망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