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1일 소비자 이해도를 높이고자 내년 2분기부터 보험안내자료를 개선한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이 아이콘과 그래프를 보고 알아야 할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개선안은 보험상품의 복잡한 특성을 압축, 요약해 소비자의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쉽게 했다. 예를 들어 적용금리 3.5% 기준으로 원금에 도달하는 데 10년이 걸린다거나, 갱신형 상품이기 때문에 갱신 시점에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다는 내용을 아이콘과 도표 등으로 핵심 내용을 뽑아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보험료 지수도 표기된다.‘98’이 적혀있다면 보험료가 업계 평균 2% 저렴하다는 뜻이다.
보험가입자의 연령·납입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는 해지환급률도 표기된다. 적용금리 3.5% 기준으로 3년 납입하면 원금의 55.5%,7년 납입하면 82.6%를 돌려받을 수 있다는 식으로 표기된다.
김봉균 금감원 보험감독국 팀장은 “원금손실 가능성 등 불완전판매 소지가 큰 사항들이 아이콘으로 안내된다”며 “아이콘을 표준화함으로써 소비자가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상품을 비교해보고 선택하기 쉬워진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