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4개월… 리스크 관리 성공
출범 4개월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1호’ 케이뱅크의 연체율이 ‘0%대’인 것으로 확인됐다. 케이뱅크의 ‘리스크 관리’ 실력에 시장도 놀라고 있다. 한정된 초기 자본금(2500억원) 탓에 부실대출화가 큰 걱정이었던 만큼 케이뱅크도 한시름 놓았다. 또한 1000억원의 유상증자를 10일 결정해 숨통이 트였다. 다만 신용등급 7등급까지 대출하기로 해 놓고 ‘과도하게’ 우량한 고객 위주로 영업해 저신용자에게 진입 장벽이 높았던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하지만 ‘중신용자·중금리 대출시장 창출’이라는 취지와 다르게 우량 고객에게 혜택이 쏠린다는 지적도 있다. 400인 이상의 견실한 제조업체 5년차 직장인 A씨는 최근 케이뱅크 신용대출을 거절당했다. 기본적으로 ‘신용카드 1년 이상 보유 중인 고객’이 신청 대상이어서 현금만 쓰는 A씨는 배제된 것이다.
중신용자(신용 4~7등급)에겐 매력적인 대출창구가 아니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은행연합회의 중신용자 신용대출금리 산출 결과 케이뱅크는 6.85%로 오히려 우리은행(6.11%), KB국민은행(6.15%), 신한은행(4.96%) 등 시중은행보다 높은 것으로 나왔다.
정희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케이뱅크의 낮은 연체율은 신용등급 1~2등급의 우량 고객을 중심으로 대환대출이 늘어난 덕분이다. 즉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보유한 직장인들이 금리가 낮은 케이뱅크로 갈아타는 현상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금리 대출은 통상 신용등급 4~7등급을 대상으로 하지만 케이뱅크에는 실질적으로 우량 고객이 주로 편입됐다”고 분석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디지털에 친숙한 직장인들이 스스로 적절하게 신용관리를 하는 이유 등도 있겠지만, 금리 혜택이 대부분 고신용자에게 돌아가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인터넷뱅크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세청 등의 직장인 급여 정보를 끌어와 분석하지만 초기엔 ‘돌다리도 두드려 본다’는 심정으로 안정적인 운용에 집중하는 것 같다”면서 “우량 고객 공략에만 집중한다면 금융 당국도 실태를 파악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8-11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