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금리 너무 늦게 내리면 경제 위태”… 금통위 ‘기준금리 인하 시계’ 빨라지나

파월 “금리 너무 늦게 내리면 경제 위태”… 금통위 ‘기준금리 인하 시계’ 빨라지나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4-07-11 00:01
수정 2024-07-11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늘 한은 금리 인하 소수의견 주목

이미지 확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FP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FP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의회 반기 보고에서 금리를 너무 늦게 내리면 경제와 고용 시장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한 발언에 미국의 9월 금리 인하 전망이 힘을 얻는 모양새다.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리는 가운데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계가 빨라질지 관심이 쏠린다.

파월 의장은 9일(현지시각) 미 연방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하반기 통화정책 보고 자리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우리가 직면한 유일한 리스크가 아니다”라며 “제한적 통화정책을 너무 늦게 혹은 너무 적게 완화하는 것은 과도하게 경제활동과 고용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금리를 너무 빨리 혹은 너무 많이 낮추면 인플레이션 진전을 정체시키거나 뒤집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금리 인하 시점을 묻는 의원의 질문에는 “오늘 인하 시점에 대한 신호를 주진 않겠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이 구체적인 시점을 밝히진 않았지만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 금리 인하 카드를 손에 쥐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한 데 이어 고용 시장 냉각 조짐이 나타나자 연준의 통화정책이 물가에서 고용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 증시는 이날 파월 의장의 발언을 완화적으로 해석하면서 다우를 제외하곤 S&P500과 나스닥이 또다시 사상 최고를 경신하기도 했다.

자연스레 관심은 11일 열리는 한은 금통위에 쏠린다. 관전 포인트는 금리 인하 소수의견의 등장 여부다. 7월 금통위 속 소수의견의 등장 여부에 따라 조기금리 인하 가능성을 예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8월과 10월로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전망이 갈린다. 이런 가운데 6명의 금통위원 중 1명이라도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나온다면 8월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고 있다.

이창용 총재가 전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최근 물가 상승률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며 물가 흐름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데 이어 파월 의장의 완화적 발언까지 더해지면서 시장에서는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 시계가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기대가 나온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이차전지 폐기물, 위험에서 미래 자원으로”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구3)이 주관한 ‘이차전지 폐기물의 관리 방안 및 향후 과제’ 정책토론회가 지난 17일 의회별관2동 제2대회의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전기차·가정용 전자제품·ESS의 확산으로 폐이차전지 발생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안전·환경·자원순환 측면에서 어떤 선제 대응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 대안을 모색한 자리였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이 의원이 발의한 ‘서울시 폐기물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차전지 폐기물 관리 조항 신설)’의 후속 정책 논의라는 점에서 정책적 의미가 컸다. 이 의원은 개회사에서 “이차전지 폐기물 문제는 더 이상 기술적·환경적 이슈에 머무르지 않는다”며 “서울의 안전, 자원 안보, 미래 산업 경쟁력까지 좌우하는 핵심 의제인 만큼 선제적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의회 김인제 부의장, 성흠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임만균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장이 축사를 통해 토론회의 필요성과 서울시 차원의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발제는 두 개 분야로 진행됐다. 정미선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장은 ‘서울시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 방안 및 국내 동향’ 주제로 전용 안심수거함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이차전지 폐기물, 위험에서 미래 자원으로”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현재까지 확인된 경기와 물가 여건, 일부 정책적·정치적 압박까지 고려하면 7월 금통위에서 1명 정도 인하 소수의견이 나올 것”이라며 “다만 9월 초 물가 수준은 확인해야 통화정책의 전환이 편할 것”이라며 10월 인하에 좀더 무게를 뒀다.
2024-07-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