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골드뱅킹 잔액 1조 83억
1년 사이 80% 급증해 사상 최고액
국제 금 가격도 연일 최고치 갱신
관세 여파에 안전자산 선호 확대

홍윤기 기자

1일 서울 종로구 삼성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골드바를 정리하고 있다. 국내 주요은행(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금 통장(골드뱅킹) 누적 잔액은 전날 기준 1조 83억원으로 집계됐다. 골드뱅킹 잔액이 1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윤기 기자
홍윤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국제 금값이 또 다시 최고가를 경신한 가운데 국내 골드뱅킹 잔액도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 중 금 통장(골드뱅킹)을 취급하는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누적 잔액은 전날 기준 1조 83억원으로 집계됐다. 골드뱅킹 잔액이 1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해 3월 말(5604억원)에 비하면 1년 사이 80%가량 급증했다. 작년 말(7822억원)에 비하면 올해 들어서만 약 30% 뛰었다. 2월 말(9165억원)에 비해서도 한 달 사이 1000억원 가까운 돈이 몰렸다. 골드뱅킹은 은행이 입금액에 해당하는 금을 국제 시세에 맞춰 금 무게로 환산해 적립하는 상품으로, 금값이 오르면 수익률도 올라간다.


지난달 말 기준 골드뱅킹 계좌 수도 28만 5621좌로, 1년 전(24만 4146좌)에 비해 17%가량 늘었다.
이날 한국거래소 KRX 금 시장에서 1kg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도 전날(14만 9000원)보다 390원 오른 14만 939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올 초 금값에 ‘김치 프리미엄’이 크게 붙으며 지난 2월 14일 기록했던 사상 최고가(16만 3530원)에는 미치진 못하지만, 김치 프리미엄이 빠진 이후 국제 시세를 추종하며 국내 금값이 이 날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시중은행에서 품귀 현상을 빚었던 골드바 판매도 최근 부분 재개됐으나 여전히 수급 차질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골드바 판매를 중단했던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최근 한국금거래소의 1kg짜리 골드바 판매를 재개했으나 나머지 제품은 여전히 품귀 상태다.
국제 금값도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3150.30달러로 마감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도 장중 한때 온스당 3145.38달러까지 치솟으며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이처럼 금에 투자가 몰리는 것은 트럼프 미 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더욱 커지는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동결 전망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금값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금이 원래 다른 자산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가 점차 가격이 오르는 과정에서 트럼프 정부 들어 커진 불확실성이 금값 상승을 가속화시킨 측면이 있다”면서 “금값이 앞으로도 더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2025-04-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