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재난·재해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 주는 데 KT&G의 사회공헌 활동이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KT&G 임직원들이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직후 현지를 찾아 무너진 기와를 보수하는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급여에서 매달 적립한 기금은 사회공헌기금으로 쓰이고 있다. KT&G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KT&G 임직원들이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직후 현지를 찾아 무너진 기와를 보수하는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급여에서 매달 적립한 기금은 사회공헌기금으로 쓰이고 있다. KT&G 제공
28일 KT&G에 따르면 포항 지진 발행 하루 뒤인 지난 16일 성금 5억원을 긴급 지원했다. 성금은 재해구호협회에 전달돼 이재민을 위한 생활필수품 지급 등에 쓰이고 있다. 앞서 KT&G는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때도 문화재 복구 등을 위해 성금 5억원을 냈다.
지진 외에 대형 화재나 수해가 났을 때도 KT&G는 구호의 손길을 어김없이 내밀고 있다. 지난 5월 강원 강릉·삼척 산불 때는 화재의연금 3억 5000만원을, 지난 7월 충북 청주·괴산 폭우 피해 때는 수재의원금 1억원을 각각 전달했다.
특히 화재·수재의연금은 KT&G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기부금제도인 ‘상상펀드’를 통해 전액 마련된 것이다. 상상펀드는 임직원들이 급여에서 매달 적립한 성금에 회사가 동일한 액수를 더하는 ‘매칭 그랜트’ 방식으로 조성된 KT&G 고유의 사회공헌기금이다. 이렇듯 KT&G는 지난 한 해에만 728억원을 사회공헌 활동에 썼다. 이는 연간 매출액의 2.5%에 해당한다. 전 경제인연합회가 밝힌 국내 200대 기업의 매출액 대비 사회공헌 비용 평균 비율이 0.2%인 점을 감안하면 10배가 넘는다.
백복인 KT&G 사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으로 기업시민의 면모를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11-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