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정부 규제개혁 불만족” 불만족 85% “정책·정치 실패”

62% “정부 규제개혁 불만족” 불만족 85% “정책·정치 실패”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8-19 21:00
수정 2019-08-20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소상공업체 289곳 조사

결국 정책의 패착, 정치의 실패가 꼽혔다. 서울신문이 배화여대 박성민 교수팀과 함께 기업·소상공업체 289곳을 대상으로 5~7월 의견조사, 현 정부 규제개혁의 빈도와 강도에 대한 불만의 이유를 조사해 19일 분석한 결과다.

우선 현 정부의 규제개혁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61.93%(기하평균)에게 만족하지 않는 이유를 추가로 물었더니 정책 실패(46.37%), 정치 실패(38.55%), 인사 실패(7.26%) 등의 순으로 꼽았다.

이전 정부에 비하면 현 정부 규제개혁에 대한 불만이 줄었는데, 이전 정부에 비해 현 정부 규제개혁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47.41%(기하평균)는 정치 실패(37.23%), 정책 실패(35.77%), 인사 실패(13.87%) 순으로 1·2위가 바뀐 답을 내놓았다. 이는 조사가 진행된 기간 추가경정예산이 100일 동안 계류되는 등 국회가 사실상 마비 상태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국회엔 데이터 활용, 온오프라인 통합(O2O) 관련 규제완화 법안들이 처리되지 않은 채 쌓여 있다.

이전 정부 대비 현 정부 개혁 빈도에 만족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19.03%(기하평균)는 정책 실패(54.84%)에 이어 소통 실패(32.26%)를 두 번째 이유로 꼽았다.

행정부의 규제 관련 소통이 부족하다고 느꼈다는 것인데, 이는 ‘손톱 밑 가시’를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푸드트럭 허용’ 같은 일상 규제 해결을 홍보한 이전 정부에 비해 현 정부의 대표 규제정책인 ‘규제 샌드박스’가 다소 전문적인 측면이 있어 나온 결과로 읽힌다.

규제개혁 국민참여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중견기업에서, 규제개혁 행정조사 만족도는 대기업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3을 보통으로 숫자가 클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나타내는 5점 척도 조사에서 국민참여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89였고 표준편차는 0.38로 응답자들 간 의견 차가 크지 않은 편이었다. 역으로 행정조사 만족도 평균은 2.54고 표준편차는 0.46으로 응답자들 간 의견 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8-2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