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8월 기준 국내 소셜벤처는 전년(1509개)보다 34.6% 증가한 2031개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처음 관련 실태조사를 한 2019년(998개) 대비 두 배가 넘는 규모다. 소셜벤처의 2020년 평균 매출액은 28억 9500만원으로 전년보다 18.5% 늘어났다. 투자를 받은 금액은 2671억원으로 전년보다 847.2%나 증가했다.
이들 기업 가운데 고용 현황에 대해 응답한 1293개 기업의 고용인원은 2만 9465명으로 기업당 평균 22.8명을 고용했다. 근로자 중 30대 이하 청년과 여성 비중은 44.9%와 45.3%였다. 정규직 고용율은 93.4%로 일반기업(63.7%)과 사회적기업(72.0%)보다 높았다.
소셜벤처의 79.1%는 제조업(39.9%)·정보통신업(18.8%)·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1.6%) 등 기술기반업종의 기업이고, 절반이 넘는 1089개는 벤처·이노비즈 등 혁신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복수 응답)에 대한 질문에는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59.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45.9%), 빈곤 감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20.3%) 등의 순이었다. 소셜벤처 3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취약계층 소득 증대·교육 접근성 개선·탄소중립 기여 등 7개 분야에서 202억원 규모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
이들 기업 가운데 고용 현황에 대해 응답한 1293개 기업의 고용인원은 2만 9465명으로 기업당 평균 22.8명을 고용했다. 근로자 중 30대 이하 청년과 여성 비중은 44.9%와 45.3%였다. 정규직 고용율은 93.4%로 일반기업(63.7%)과 사회적기업(72.0%)보다 높았다.
소셜벤처의 79.1%는 제조업(39.9%)·정보통신업(18.8%)·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1.6%) 등 기술기반업종의 기업이고, 절반이 넘는 1089개는 벤처·이노비즈 등 혁신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복수 응답)에 대한 질문에는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장(59.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45.9%), 빈곤 감소 및 사회안전망 강화(20.3%) 등의 순이었다. 소셜벤처 3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취약계층 소득 증대·교육 접근성 개선·탄소중립 기여 등 7개 분야에서 202억원 규모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